반응형
*인지치료의 과정
1. 치료 초기
- 관계형성
- 문제의 탐색 및 명료화
- 인지치료의 기본 개념 및 원리 이해
- 치료 목표 설정: 부정적인 사고내용을 탐색하여 다루는 것을 강조
2. 치료 중기
1) 전반부: '자동적 사고'에 초점
> 자동적 사고 탐색 -> 자동적 사고의 검토 -> 대안적 사고의 검토
2) 후반부: '역기능적 신념'에 초점
> 역기능적 신념(취약성)의 변화 -> 재발방지 (보다 적응적인 인지를 재구조화)
3. 치료 종결기
- 치료과정을 되돌아보며 도움이 된 점을 검토
- 재발예방 (대처방법 논의)
- 인지치료적인 기법을 계속 생활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 치료자의 역할과 태도
★ 협력적 경험주의 (collaborative empiricism)
: 치료자와 내담자는 공동연구를 하듯이 협동적인 동등한 관계 속에서 작업
> 내담자를 치료의 능동적인 주체로 참여시킴.
> 내담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역기능적 인지를 찾고, 그 타당성을 검증 & 대안적 인지를 발견해 나가는 모든 작업을 함께 해 나감
> 내담자의 인식을 숨겨진 추동이나 방어기제에 의해 위장된 연막이 아닌 진정한 것으로 파악.
=>>> 치료가 종결되었을 때라도 내담자 스스로 문제를 다뤄 해결할 수 있도록 함.
* 한계
- 적용 대상의 한계
> 낮은 지능이나 학력, 심리적 내성능력이 부족하거나, 심한 성격장애를 가진 경우 등에는 신중히 적용해야 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