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찾아온 아리입니다.
오늘은 인지치료의 다양한 치료적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1. 소크라테스식 대화
: 인지치료에서 질문은 매우 중요한 치료적 도구임.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움
> 내담자로 하여금 특정 사건에 부여한 의미를 재검토하게 함.
2. 인도된 발견
: 내담자들 스스로 자신의 부정적 사고, 논리적 오류, 대안적 사고를 발견하도록 안내하고 인도하는 과정
> 치료자는 이러한 과정의 안내자
>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논리적 오류와 왜곡을 발견하도록 인도
3. 하향 화살표 기법
: 자동적 사고의 기저에 존재하는 역기능적 신념을 탐색하는 기법
> 특정 사건의 자동적 사고로부터 그 사고의 기저에 있는 신녕의 내용을 계속 추적해 들어가는 방법
"그렇다면 그게 어떤 의미인가요?"
4. 협력적 경험주의
: 공동연구를 하듯 협동적이고 동등한 관계 속에서 작업
> 현상학적 접근
> 치료자를 치료의 능동적인 주체로 참여시킴
5. 역기능적 사고와 일일 기록지
:기록지에 사건과 반응을 적어 놓고, 그 사이에 어떤 생각이 개입되어 있었는지를 인식하도록 도움.
6. 행동 실험
: 실제 행동에 따른 결과 확인
> 사고의 타당성을 직접적으로 검증
ex. 백화점에서 옷을 구경만 하고 나오는 것을 잘 못하는 내담자
-> 실제로 물건을 아무것도 안사고 나오도록 한 뒤, 점원의 표정을 살펴보기 .
7. 이성적 - 감성적 역할연기
: 역기능적 신념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감정적으로 동의하지 못할 때, 각기 '감성', '이성'의 역할을 맡아 서로 입장을 주장, 이후 역할을 바꾸어서 실행.
8. 대처카드
: 적응적인 사고를 기술한 문장을 (수시로) 큰소리로 반복하여 읽거나 말함으로써 내면화
9. 활동계획표
: 구체적인 활동 계획 및 실행결과를 기록
> 기분향상 및 효율적인 삶 영위
> 하루 일과의 구조화
> 우울한 사람들에게 특히 도움이 됨.
10. 과제부여
> 적응 기술 습득
> 치료 효과 증진, 치료 기간 단축
> 성공적인 결과를 거둘수 있는 적절한 과제의 점진적 부여
> 회기와 회기 사이에 과제를 줌.
11. 기타
> 인지적 시연법: 특정 상황을 생각으로 리허설
> 장단점 목록 만들기
> 역할연기
> 주장훈련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증법적 치료 / 변증법적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의 기능, 기본가정 (0) | 2024.02.05 |
---|---|
[정신분석치료] Freud의 정신분석치료의 발달과정, 주요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원초아, 자아, 초자아 (0) | 2023.06.30 |
[심리치료] 수용 전념 치료 (ACT ::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0) | 2023.05.29 |
[인지치료] 인지치료의 과정/ 치료자의 역할과 태도 / 한계 (0) | 2022.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