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이야기 Psychology/심리 이야기 , 아동학 이야기9

[발달] 자살 suicide :: 자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자살을 주제로 한 내용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대한민국이 OECD국가에서 자살율이 1위라는 것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겠죠..? 그만큼 자살은 우리 사회에서 정말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제가 이렇게 자살에 대한 포스팅을 하는 것은 자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을 때 우리 사회가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자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우리는 생각보다 자살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우리가 흔히 갖고 있는 자살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한 내용 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자살 시도와 지속성 : 자살을 고려하거나 시도한 사람은 항상 자살할 위험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어린이와 .. 2024. 9. 28.
금쪽같은 내새끼 107화: 부부싸움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력 금쪽같은 내새끼 107회: 2022-07-22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 최근에 금쪽같은 내새끼 107회를 보고 부부싸움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공유하고자 포스팅합니다! 보는 내내 마음이 아팠네요... 아이 앞에서 부부싸움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일인 것 같습니다. 금쪽이의 모습 - 홀로 동떨어져 노는 모습을 보임 - 집에서는 주로 휴대폰을 이용한다고 함. / 늦게까지 휴대폰을 하느라 잠을 늦게잠. 오은영 박사님의 이야기 - 아이가 웃지 않고 홀로 동 떨어져 있다, 기운이 없고 축 늘어져 있고, 집중을 잘못하고 멍해있음 -> 소아 무기력증으로 볼 수 있다. (소아 무기력증이란? 에너지가 없고 흥미가 없음) +) 소아 무기력증에 걸리는 이유 1. 부모가 아이.. 2022. 7. 28.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배우 신소율의 이야기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시즌2: 31화 "2022-05-13" 유튜브 클립을 보다가 나와 비슷한점이 많은 분인 것 같아서 넷플릭스로 본편을 보았다. :: 배우 신소율의 이야기 - 신소율의 고민 > 마음에 있는 솔직한 이야기를 잘 전하지 못한다. 힘든 것이 커져서 몸까지 반응하기 시작했다. *신체화 증상: 스트레스에 대한 대뇌의 반응이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것 : 가장 흔한 것이 두통과 복통 : 평생 자신의 몸이 약하다고 생각함. > 유독 말하기 힘든 주제: 하고싶은 말이 있어도 잘 못하는 편이다. 속앓이 하는 자신이 또 힘이든다. - 오은영 박사님의 이야기 1. 신소율의 행동이 융통성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 같은 질문도 어떤 상황에서 질문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를 수 있다. 2. 신소율은 지나.. 2022. 7. 1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변호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Austic Spectrum Disorder: ASD)란? > DSM-5에 따르면 ASD는 일차적 증상이 다음 두 영역에 속하는 신경발달적 장애이다. 여러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 이들은 사회정서적 상호성,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사회적 관계에서 드러난다.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또는 활동 패턴: 이들은 다음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 >>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신체운동,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동일성에 대한 집착, 고정된 일과나 의식화된 행동에 대한 융통성이 없는 집착 / 비정상적 강도나 초점의 제한되고 고정된 관심 / 감각적 자.. 2022.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