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이야기 Psychology/심리학개론13

[심리학개론] 뇌를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 :: 뇌전도 EEG / 컴퓨터 단층 촬영술 CT / 자기 공명 영상법 MRI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법 fMRI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뇌를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론을 공부하면서 여러번 접했지만 늘 볼때마다 도대체 어떤 기제로 무엇을 알고자 하는 것들인지 헷갈린 적이 많았어서 이렇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처럼 이 부분에 대해 공부하고 계시거나 이에 대해 확실히 알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뇌전도 EEG (Electroencephalogram) : 두피에 전극을 부탁하여 뇌의 자발적인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기법 - 연구자들은 뇌전도를 통해 다른 층의 의식상태에서의 뇌가 어떤 전자파를 만들어내는지 알 수 있음. - 수면 연구에서 널리 사용됨 > 수면의 단계와 꿈 연구 #컴퓨터 단층 촬영술 CT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2023. 7. 24.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 신뢰도, 타당도, 표준화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에는 신뢰도, 타당도, 표준화가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볼까요? 1. 신뢰도(reliability) : " 그 검사가 얼마나 측정 오차가 작고 믿을 만한가?" 하는 정도 : 여러 번에 걸쳐 검사를 실시했을 때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 >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 점수의 시간적 안정성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집단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그 결과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방법 > 동형검사 신뢰도: 내용과 난이도는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문항의 형태는 다른 A,B 두 유형의 검사를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피검자에게 실시하여 산출함. > 내적합치도: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 간의 일관.. 2022. 8. 31.
제임스-랑게 이론(James-Lange) vs 캐논-바드(Cannon-Bard) 이론 1. 제임스 - 랑게 이론 (1800) : 신체의 변화가 먼저 나타나고, 감정이 그 후에 일어난다. >기뻐서 웃는게 아니라 웃으니까 기쁜것이다. >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신체의 생리적 변화 반응을 경험한 후에 정서경험이 동반된다. ex. 빨간 망토 소녀가 늑대를 보았을때, 심장박동 수가 빨라짐 -> 이런 신체적 변화를 감지한 뒤에 두려움의 감정을 느낌. >근거: 안면 피드백 가설 : 펜을 입에 물어서 웃는 표정을 짓게 한 집단이, 입을 내밀면서 심통난 표정으로 펜을 문 집단보다 같은 만화를 더 재미있게 봤다는 연구. 2. 캐논- 바드 이론(1929) : 정서 유발 자극이 생리적 반응과 정서의 주관적 경험을 동시에 촉발시킨다. > 외부자극에 대해 신체적 지각과 정서적 경험이 동시에 일어난다. ex. 빨간.. 2022. 8. 25.
여키스- 도슨법칙(Yerkes-Dodson Law):: 여키스-도슨 법칙의 의미, 여키스-도슨 법칙의 뜻, 여키스-도슨 법칙의 정의 여키스- 도슨 법칙이란? : 1908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밝혀낸 법칙으로, 인간의 감각-지각의 각성 상태와 과제 수행 능력 사이에는 역 U자 형태 관계가 성립한다는 이론이다. > 일정 수준까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이 증가할수록 인간의 수행 능력은 향상하지만, 중압감 등의 자극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오히려 수행 능력이 다시 떨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 적절한 자극이 최고의 성과를 내는데, 이렇게 최고의 성과를 내는 중간 수준의 각성을 '최적 각성 수준'이라고 한다. * 여키스와 도슨의 쥐 미로찾기 실험 : 여키스와 도슨은 실험을 통해 쥐들이 미로 찾기를 할 때 전기 충격을 통해 동기 부여를 할 수 있.. 2022. 8.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