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이상심리학

[이상심리학] 신체이형장애 (Body Dysmorphic Disorder) DSM-5 진단기준, 증상, 원인, 치료

by here, happy 2023. 7.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아리와 심리공부의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신체이형장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찾아왔습니다 :)

 

#신체이형장애 (Body Dysmorphic Disorder)

: 자신의 외모가 기형적이라고 잘못된 집착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신체추형장애 또는 신체기형장애라고 불리기도 함.

 

 

신체이형 장애를 지닌 사람은 자신의 신체적 기형을 상상하여 믿는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imgye1/221227167309

 

#신체이형장애의 DSM-5 진단기준

A. 타인이 알아볼 수 없거나 혹은 미미한 정도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체적 외모의 결함을 의식하고 이에 대해 지나친 몰두와 집착을 보인다.

B. 외모에 대한 걱정 때문에 질환 경과 중 어느 시점에 반복적 행동 (예, 거울 보기, 과도한 치장, 피부뜯기, 안심하려고 하는 행동)이나 정신적인 행위 (예, 자신의 외모를 다른 이와 비교하는 것)를 보인다.

C. 이런 집착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D. 외모에 대한 집착이 섭식장애의 진단을 만족하는 사람에서 보이는 신체 지방이나 몸무게에 대한 염려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신체이형장애의 특징, 증상

- 신체적 외모에 대해 한 개 이상의 주관적 결함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이 주된 증상임.- 얼굴의 특성에 대해 기형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성형수술을 통해 이러한 모습을 바꾸고자 함.- 신체적 기형에 대한 믿음 때문에 심한 열등감을 지니거나 자신감을 상실하고 대인관계에서 위축되는 경우가 많음.- 흔히 15~20세 사이의 사춘기에 많이 발생하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약간 흔하며 미혼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함.

 

 

#신체이형장애의 원인

- 정신분석적 입장 > 무의식적인 성적 또는 정서적 갈등이 신체 부위에 대치되어 나타남.

 

- 인지행동적 입장: 신체이형장애 환자들이 나타내는 인지적 특성에 주목

 > 신체적 외모의 매력을 일반인들보다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음.

 > 외모에 대한 높은 미적 민감성 (aesthetic sentsitivity) 을 지니고 있어서 자신의 외모를 균형과 조화 또는 성적인 매력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자기 얼굴의 미묘한 비대칭성이나 사소한 결함을 발견하게 됨. 

 > 외모의 중요성을 과도하게 높이 평가하는 비합리적인 신념을 지지고 있음.

  ex. "외모가 매력적이지 않으면 나는 무가치한 존재다.", "외모에 문제가 있으면 모든 일에서 성공할 수 없다"

 

 

#신체이형장애의 치료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한 약물치료

 > 망상적 수준의 신체이형 장애를 지닌 일부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켰다는 보고가 있음.

 

- 인지행동적 치료방법의 하나인 노출 및 반응 방지법 (ERP)

 >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들에 대한 위계를 작성하여 점진적으로 노출시킴.

 > 외모에 대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반복하는 행동(예, 피부 뜯기, 과도한 화장,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등) 을 하지 못하도록 함. 

 > 신체적 결함에 집착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사고를 찾아내어 도전할 뿐만 아니라 그 기저에 존재하는 역기능적 신념을 파악하여 수정하도록 도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