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서적: 심리학의 이해 5판 (학지사) - 5장. 기억
학습목표
- 정보처리 관점에 근거한 기억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 기억에서 발생하는 간섭과 오기억에 대해 알아본다.
- 작업기억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장기기억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1. 에빙하우스와 망각곡선
- 에빙하우스(1850-1909): 기억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실험을 수행하여 1885년 자신의 연구 결과를 짧은 책으로 출판.
- 절약률: 기억이 얼마나 보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망각곡선: 시간에 따른 절약률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
2. 기억의 양상: 중다 기억 모형
- 중다기억모형 (multi-store model): 다양한 형태의 기억을 정보처리 접근을 활요앻 서술한 것
> 환경의 자극은 감각기억에 매우 짧은 시간 등록되고, 이 중 일부가 단기기억에서 활성화되며, 어떤 정보는 장기기억에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장기기억의 정보는 필요에 따라 단기기억으로 불려와 활성화되기도 한다. 단기기억에서의 정보 처리는 반응으로 이어지게 된다.
3. 작업기억
- 배들리는 작업기억이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 중앙집행기의 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다.
1) 음운루프: 음향적인 정보를 단기적으로 저장하고 암송하는 역할
2) 시공간잡기장: 시각적, 공간적 정보를 단기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작업기억의 구성요소
3) 중앙집행기: 음운루프와 시공간잡기장의 정보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역할
4. 장기기억의 종류
1) 의미기억과 일화기억
ㄱ. 의미기억: 일반적 지식에 대한 기억
ㄴ. 일화기억: 사건에 대한 기억
2)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ㄱ. 외현기억: 의식적으로 자각할 수 있는 기억
ㄴ. 암묵기억: 의식하지는 못하지만 은연중에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
3) 서술기억과 절차기억
ㄱ. 서술기억: 사실과 사건에 대한 의식적인 기억
ㄴ. 절차기억: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빠르게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억.
+) 학습과제
Q1. 계열위치효과를 활용하여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을 구별해보시오.
> 계열위치효과란 항목의 순서에 따라 회량률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순서대로 제시된 항목에 대한 회상과제에서 초두효과와 최신효과에 의해 발생한다. 이것을 통한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구별은 초두효과와 최신효과로 할 수 있다. 초두효과는 장기기억에 의한 것이며, 최신효과는 단기기억에 의해 발생한다.
Q2. 작업기억과 단기기억을 비교해보시오.
> 작업기억은 정보의 처리에 초점에 맞춘 표현이고 단기기억은 정보의 저장에 초점을 맞춘 표현이다.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개론] 12장. 스트레스와 건강 (0) | 2022.08.08 |
---|---|
[심리학개론] 6장. 언어와 사고 (0) | 2022.08.03 |
[심리학개론] 4장. 학습 (0) | 2022.07.14 |
[심리학개론] 2장.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심리학, 뉴런, 중추 신경계, 말초 신경계, 신경가소성 (0) | 2022.07.06 |
[심리학개론] 9장. 성격 (심리학의이해 - 학지사) (1) | 2022.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