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서적: 심리학의 이해 5판 (학지사) - 6장. 언어와 사고
1. 인간 언어의 특성
1) 인간 언어의 발생
(1) 자연 선택
- 복잡한 언어구조에 대해,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단순한 단어의 배열에서 진화되었을 가능성의 시각으로 바라봄.
> 복잡한 구조를 가진 언어는 의사소통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을 것이고, 이런 의사소통 능력은 인간에게 커다란 경쟁력을 갖게 해 주었을 것임.
(2) 성도의 진화
- 인간 후두의 위치를 다른 동물과 비교해보면, 다른 동물에 비해 낮게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후두가 내려앉음으로써 인간은 다양한 말소리를 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
(3) 피진어와 크리올어
2) 인간 언어는 종 특정적인가
(1) 인간 언어의 주요 특성
- 인간 언어는 생산성을 가지고 있고, 위계적 구조로 구성되고,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① 생산성
: 단어의 결합이나 문장의 결합을 통해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것과 관련된 특성.
② 구조 의존성
: 인간 언어가 위계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관련한 특성.
③ 언어적 보편성
: 각기 다른 문법 구조를 갖고 있는 전 세계의 언어 속에서 많은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특성
- 보편문법 (BY 촘스키)
: 인간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것은 보편문법이라 부르는 생물학적 기제 때문에 가능하기에 전 세계의 언어 구조의 기저에는 이 생물학적 기제의 작동 결과로 나타나는 공통의 상징 조작 체계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함.
(2) 다른 종의 언어 학습
- 다른 동물이 인간 언어를 배우는 것은 아동이 언어를 배우는 것과는 구별되고, 언어는 인간의 고유 능력임
(3) 언어와 대뇌
① 좌반구 기능으로서의 언어
- 분리뇌(split brain) 환자의 예시
: 스크린의 왼쪽에 '나사'라는 단어를 제시하고 분리뇌 환자들에게 무슨 단어를 보았는지 물어봤을 때 이 환자들은 대답을 하지 못함.
-> 좌반구가 언어 중추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줌.
- 실어증 -> 좌반구가 손상되었을 때 나타남!
ㄱ. 브로카 실어증: 발음상의 문제를 보임 / 브로카 영역이 운동을 통제하는 부분과 인접해 있어서 언어의 발화에 관여하기 때문임.
ㄴ. 베르니케 실어증: 유창하게 말은 하지만 사용하는 단어나 단어의 조합이 적절하지 않고 말을 이해하는데 심각한 결함을 보임/ 언어의 이해에서 문제
② 언어에 대한 좌반구 편재화의 발달
< 두가지 가설>
- 가설1. 동등 잠재력 가설: 태어날 때에는 좌반구가 언어 기능에 대해 편재화되어 있지 않고 좌반구와 우반구는 언어를 습득하는 데 동등한 잠재력을 가진다는 가설
- 가설2. 불변성 가설: 언어에 대한 기능적 비대칭성은 태어날 때부터 형성되어 있다는 가설
<신경학적 가소성>
- 대뇌의 부위가 정상 시에 가동하지 않던 기능을 양도받아 갖게되는 능력
2. 언어의 구조
1) 음운론
- 언어를 분석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최소단위는 소리임 - 음소: 더 잘게 분석할 수 없는 소리의 최소 단위
2) 형태론
- 형태소: 의미나 문법적 기능을 전달하는 최소의 단위
3) 통사론: 단어들의 결합을 결정하는 규칙
- 구절 구조 규칙: 문장을 분석하고 산출하는 데 기초가 되는 지식체계
3. 언어와 사고
- 행동주의자
> 왓슨: 언어와 사고가 일치한다고 생각함. / 사고는 발성이 수반되지 않는 말소리일 뿐이다. 사고는 개인이 발성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속말이기에 언어의 한 형태이다.
- 스미스: 언어와 사고는 일치하지 않음.
- 피아제: 언어는 독립된 능력이 아니라 인지발달의 결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인지능력 중 하나임.
- 언어의 단원성(modularity): 언어는 인지와는 분리된 단원임./ 언어와 사고가 구별된다는 입장/ 이 세상에 대한 표상은 진화 과정에서 형성된 생득적 구조 또는 단원에 의해 만들어짐.
- 언어의 상대성(linguisitc relativity): 언어와 사고는 구별되어 있지만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 (by 올프 Whorf,1956)
: 언어 간의 어휘나 통사의 차이가 인지적 차이를 가져옴.
ex. 영어에서는 눈(雪)을 나타내는 단어가 하나인데 반해, 에스키모 언어에서는 '눈'을 지칭하는 단어가 여러개임.
학습과제
1. 인간 언어가 종 특정적이라는 증거는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 인간 언어의 3가지 특성: 생산성, 구조 의존성, 보편성
2. 언어 발생에 대한 진화적 증거는 무엇이며, 그것이 언어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 말소리를 산출하는 성도
: 인간의 후두는 다른 동물에 비해 낮게 자리 잡고 있는데, 이로인해 인간은 다양한 말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3, 언어의 표상적 구조와 각 수준에서의 심리적 증거는 무엇인지 제시하시오.
: 인간의 언어는 다른 동물의 의사소통 체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위계적 표상 구조로 조직되어 있다. 언어 구조는 음성을 표상하는 음운론을 가장 하위 단계로, 단어의 조직을 담당하는 형태론, 단어가 모여서 이룬 구절, 절, 그리고 문장의 구조를 관장하는 통사론으로 구별할 수 있다.
4.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기술하시오.
- 행동주의자: 언어와 사고가 동일하다.
- 언어 상대성 이론: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준다.
- 언어의 단원성: 언어는 다른 인지와는 구별되는 독립된 단원이다.
5. 언어의 좌반구 편재화에 대한 신경과학적 증거를 기술하시오.
- 분리 뇌 환자
- 실어증( 브로카 실어증, 베르니케 실어증)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키스- 도슨법칙(Yerkes-Dodson Law):: 여키스-도슨 법칙의 의미, 여키스-도슨 법칙의 뜻, 여키스-도슨 법칙의 정의 (0) | 2022.08.24 |
---|---|
[심리학개론] 12장. 스트레스와 건강 (0) | 2022.08.08 |
[심리학개론] 5장. 기억 (0) | 2022.07.26 |
[심리학개론] 4장. 학습 (0) | 2022.07.14 |
[심리학개론] 2장.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심리학, 뉴런, 중추 신경계, 말초 신경계, 신경가소성 (0)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