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변호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Austic Spectrum Disorder: ASD)란?
> DSM-5에 따르면 ASD는 일차적 증상이 다음 두 영역에 속하는 신경발달적 장애이다.
- 여러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 이들은 사회정서적 상호성,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사회적 관계에서 드러난다.
-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또는 활동 패턴: 이들은 다음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 >>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신체운동,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동일성에 대한 집착, 고정된 일과나 의식화된 행동에 대한 융통성이 없는 집착 / 비정상적 강도나 초점의 제한되고 고정된 관심 / 감각적 자극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민감성, 또는 환경의 감각적 측면에 대한 특이한 관심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를 통한 자폐증 공부하기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 중 소수의 비율로 정상 아동이 보이는 것보다 훨씬 뛰어난 천재능력(savant abilities)를 보이는 이들이 있는데, 우영우 변호사가 바로 그 중 한명으로 보인다. 극 중에서 우영우 변호사는 어렸을 때부터 법령을 토씨하나 빠뜨리지 않고 외우는 모습을 보인다. 아마 그녀는 법쪽으로 뛰어난 재능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증상을 서번트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서번트 증후군이란 무엇일까?
> 서번트 증후군 (Savant syndrome)
:사회성이 떨어지고 의사 소통 능력이 낮으며 반복적인 행동 등을 보이는 여러 뇌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으나 기억, 암산, 퍼즐이나 음악적인 부분 등 특정한 부분에서 우수한 능력을 가지는 증후군.
- 우영우 변호사가 자폐스펙트럽 장애의 특징을 보이는 구간
> 라벨이 있는 옷을 입지 않는다.
> 음식의 식감에 예민하여 김밥에서 햄을 빼고 먹는다.
>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결함을 보인다.
> 돌고래(특정 대상)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보인다.
> 표정을 인식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데 결함을 보인다.
반응형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 이야기 , 아동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쪽같은 내새끼 107화: 부부싸움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력 (0) | 2022.07.28 |
---|---|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배우 신소율의 이야기 (0) | 2022.07.11 |
금쪽같은 내새끼 60회: 외상 후 스트레스(PTSD) 를 겪고 있는 아이 (0) | 2022.03.31 |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위너(WINNER) 송민호(MINO)의 이야기 (0) | 2022.03.26 |
금쪽같은 내새끼 시즌3: 8화 (홈스쿨링 이야기) - 오박사, 홈스쿨링 택했다면 '이것' 명심하라!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