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 분야 논문23

[국내논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배미예, 이은희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국내논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배미예, 이은희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키워드: 자아분화, 대인과계, 우울/불안, 자기통제력 1. 서론 - 본 연구에서는 1)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자기통제력, 우울/불안 및 대인관계 문제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2)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우울/불안 그리고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음. - 자아분화 1) 개인이 사고와 정서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성숙과 자기가 태어난 가정으로부터 개별화된 정도 2) 사고와 감정을 구분하고, 강한 정서의 한 가운데서 명확히 사고할 수 있는 능력 (By 보웬) - 관련 이론: 보웬(Bowen, M, 1.. 2022. 8. 11.
[국내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 이성아(광양고교 특수교사), 박승희(이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 이성아(광양고교 특수교사), 박승희(이화여대 특수교육학과) ★ 본 논문에서의 '발달장애' : 지적 장애 및 자폐성 장애 ★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 장애를 지닌 개인이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강약점을 사실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 키워드: 발달장애 청소년, 자기이해, 자기장애수용, 장애수용, 전환교육, 고등학교 특수학급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본 연구의 필요성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이해 ㄱ. 장애 청소년들의 정체성 발달은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때문에 더욱 복잡함. > 사춘기 관련 문제들이 장애로 인한 학업 실패나 문제행동과 결합.. 2022. 8. 6.
[국내논문] 시험불안에 있어 학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관련성 - 이은영, 박양리, 현명호 (중앙대 심리학과) 시험불안에 있어 학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관련성 - 이은영, 박양리, 현명호 (중앙대 심리학과) (2008) 키워드: 학업스트레스, 마음챙김, 시험불안 연구목적: 청소년이 학업스트레스로 인해 시험불안을 경험하는데 있어서 학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 [도입] -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문제(35%) -> 직업문제(29,6%) 순 - 청소년의 최대 고민거리: 학업수행과 관련한 문제임 - 학업과 관련한 문제 유형 1) 성적저하로 인한 걱정과 스트레스 2) 시험불안 3) 학업능률의 저하 -학업 스트레스란? : 시험이나 성적 등의 학업과 관련하여 느끼는 심리적 불편상태 -시험불안이란? : 불안의 한 형태로, 능력에 대한 평가를 받는 시험이라고 하는 .. 2022. 8. 1.
[국내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윤혜영(동부Wee센터), 강지현(동덕여대) [국내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윤혜영(동부Wee센터), 강지현(동덕여대) 주요어: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매개효과 도입 대인관계문제란? :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부정적인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여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현상>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대인관계 문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인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하나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때, 수치심이 매개변인으로 대두됨. 수치심이란? : 타인에게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2022.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