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8

[심리통계] 통계학의 기본 개념과 기술통계 / 표준점수와 정규분포 [모집단/표본/표집] # 모집단(population):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체 집단, 전집 # 표본(sample): 모집단을 대표하는 추출된 대상의 군집 # 표집(sampling):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 #일반화(generalization): 표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표본 내의 해석으로 끝내지 않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모집단의 특성에 대해 추론하여 서술하려고 하는 것. [변수] # 연속형 변수와 이산형 변수 > 연속성(continuity)의 여부로 나뉨 1) 연속형(continuous) 변수: 연속선 상에서 정의되는 변수로서 주어진 값의 내에서 무한대의 값을 취할 수 있는 변수. ex. 키, 몸무게, 시간 등 > 특정한 사건의 발생확률이 0이 되는 변수 (분모가 무한대이기 때문) 2) .. 2024. 4. 6.
영아기와 아동기의 젠더발달 :: 트렌스젠더 아동 / 성 유형화 #젠더 발달의 생물학적 요인# 태내 성적 발달의 이상- 생물학적 성, 사회적 성, 성 정체성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ex. 남성으로 태어나 남성으로 양육되고 스스로도 남성이라고 여김) 외에 전체 출생의 약 2%가 성적 발달이 다르게 이루어짐 - 클라인펠터 증후군,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안드로겐 불감성 증후군 #트렌스젠더 아동 - 트랜스젠더 아동은 타고난 성이 아닌 현재 자신의 성에 해당되는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 & 현재 성의 유형화된 선호 행동들을 보임 - 트렌스젠더 아동의 성정체성은 현재의 성으로 산 기간에 따라 다르지 않았음 > 트렌스 젠더는 타고난 것! #성 유형화 gender typing: 아동이 자신이 속한 문화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동기, 가치, 행동을 획득해 나가는 과정 .. 2024. 2. 13.
[임상신경심리] 치매(Dimentia)란? / 치매 DSM-5 진단기준 / 치매 원인과 예방법 / 치매의 조기 진단 및 치료 / 치매의 위험요인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 오늘은 여러분들과 임상신경심리와 치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먼저 임상신경심리에 대해 알아보고 치매의 기본적인 개념, 발생 원인, 예방 방법, 진단 및 치료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임상신경심리학 - 뇌의 정상 또는 비정상적 기능이 인간의 인지 기능, 정서 상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연구하는 응용과학 - 임상신경심리학자는 뇌와 인간행동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신경계 질환 환자들이 가진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신경심리평가를 시행하고, 이러한 환자 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을 시행한다. 또한 뇌와 행동 사이의 관련성을 바탕 으로 자문과 연구 및 교육의 역할도 담당한다. #치매(Dementia)란? 치매는 뇌 기능이 점.. 2024. 2. 12.
변증법적 치료 / 변증법적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의 기능, 기본가정 # 변증법적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인지 행동 치료(CBT)에 뿌리를 둔 일종의 대화 치료로, 정서적 조절 장애를 해결하고 대인 관계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됨. + 특징 > 경계성 인격 장애(BPD)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다양한 정신 건강 상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마음챙김, 감정 조절, 대인 관계 효율성, 고통 감내력과 같은 분야의 기술 구축을 강조 > 목표: 개인이 강렬한 감정을 관리하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줄이며, 살아갈 만한 삶을 살도록 돕는 것 # 경계선 성격장애의 핵심적 특징1) 대인관계 불안정성 2) 자아상 불안정성 3) 정서의 불안정성 4) 심한 충동성 및 자해, 자살 행동 #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기능 1. 기술을 통해.. 2024. 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