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이상심리학

[이상심리학]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ies : DSM-5 진단기준, 지적장애 심각도 분류, 발달경로

by here, happy 2023. 7.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신경발달장애의 범주에 포함하는 지적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적장애는 과거에 '정신지체'라고도 불린 장애인데요, '정신지체'라는 어감이 좋지 않아서 지적장애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먼저 지적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적장애의 DSM-5 진단기준

지적장애는 발달 시기에 시작되며, 개념, 사회, 실행 영역에서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 모두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3가지 진단기준을 충족해야한다.

A. 임상적 평가와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된 지능검사로 확인된 지적 기능(추론,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학업, 경험 학습)의 결함이 있다.
B. 적응 기능의 결함으로 인해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 의식에 필요한 발달학적, 사회문화적 표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지속적인 지원 없이는 적응 결험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가정, 학교, 일터, 공동체)에서 한 가지 이상의 일상 활동(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독립적 생활) 기능에 제한을 받는다.
C. 지적 결함과 적응 기능의 결함은 발달 시기 동안에 시작된다. 

주의점: 지적장애라는 진단명은 ICD-11의 지적발달장애와 동의어다.

 


#지적장애의 심각도 분류

- IQ지수에 기반하여 심각도 수준을 나누지 않고, 적응 기능에 기반하여 구분

 > Mild (경도) - Moderate (중등도) - Severe (고도) - Profound (최고도)

범주 DSM-IV  (IQ범위) DSM-5 기준
Mild (약 85%) 50-69 - "교육 가능한" 범주
- 취학 전에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 발달
- 10대 후반에 6학년 수준의 학업 기술 습득 가능
- 적절한 지원과 지도감독이 제공되면, 독립적으로 생활 가능
Moderate (약 10%) 36-49 - "훈련 가능한" 범주
- 소아기 초기에 의사소통 기술 습득
- 초등학교 2학년 수준 이상은 넘어서기 어려움
Severe (약 3.5%) 20-35 - 소아기 초기에 의사소통성 언어를 조금 배우거나 전혀 배우지 못함.
- 매일 자기돌봄 활동 지원 및 안전 감독을 받아야 함.
Profound (약 1.5%) 20 이하 - 신경학적인 원인 보유
- 24시간 보호를 받아야 함.

 


#지적장애의 발달경로

- 가벼운 수준의 지적장애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지적, 적응기술을 발달시켜 장애의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음.

- 대부분의 경우 지적장애는 평생 지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