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달정신병리학2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과 사례 (금쪽같은 내새끼 60회,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아동)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 오늘은 흔히 PTSD라고 불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찾아왔습니다.우선 PTSD의 진단기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DSM-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A.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부상 또는 성폭력에의 노출이 다음과 같은 방식 가운데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서 나타난다:1. 외상성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2. 그 사전이 다른 사람들, 특히 주양육자에게 일어난 것을 목격함.3. 외상성 사건이 가족, 가까운 친척 또는 친한 친구, 특히 부모나 주양육자에게 일어난 것을 알게 됨B. 외상성 사건과 관련이 있는 침습 증상의 존재가 다음 중 한 가지(또는 그 이상)에서 나타난다:1. 외상성 사건의 반복적, 불수의적이고, 침습적인 고통스러운 기억.. 2025. 5. 2.
[지적장애] 지적장애 / 지적장애의 심각도 / AAIDD(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학회)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orders (ID) -IQ 점수 65~75 점수가 지적결함을 결정하는 절단점수로 권장됨-지적기능: 정보를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적응기능: 그 사회에서 일상적으로 해야할 일들을 연령에 적합한 방식으로 해내는 수준-DSM-5에는 개념, 사회, 실행이라는 적응기능의 세 영역이 명시되어 있음> ID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이 중에서 적어도 한 영역에서 손상을 보여야 함1) 개념: 언어 이해, 말하기, 읽기, 쓰기, 수 세기기2) 사회: 대인관계 기술, 규칙 준수, 사회적 문제해결, 다른사람을 이해하기3) 실행기술: 자기 돌보기, 안전 실천, 돈 사용하기-ID가 있는 사람들은 모두 어릴 때부터 지적기능과 적응 기능에서 제한을 보임> 지적기능과 일상생활의 문제는 그들의 .. 2025. 3.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