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분야 논문

[논문]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 자녀가 탐욕적으로 되는 것을 막아준다 :: 청소년 자녀의 핵심 자아평가의 매개효과

by here, happy 2024. 7.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 자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려고 합니다. 오늘 제가 가져온 논문은

Mindful parenting inhibits adolescents from being greed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 core self-evaluations


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출처: Liu, Z., Sun, X., Guo, Y., & Luo, F. (2023). Mindful parenting inhibits adolescents from being greed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 core self-evaluations. Current Psychology, 42(19), 15991-16000.



이 논문은 청소년의 탐욕을 억제하는 데 있어 마음챙김 부모 역할의 중요성과 그 중재적 메커니즘을 조사함.

[연구배경]
# 마음챙김 양육 (mindful parenting)
마음챙김 양육은 부모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비판하지 않으며, 자비로운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 차원으로 설명된다.
1) 전적인 주의 기울이기
2) 비판하지 않는 수용
3) 자신과 자녀의 감정에 대한 인식
4) 자기조절
5) 자신과 자녀에 대한 자비

#탐욕(greed)
탐욕은 만족하지 않고 더 많은 것을 원하며, 자아중심적이고 충동적이며 때로는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청소년기의 탐욕은 더 많은 지출, 적은 저축, 더 많은 부채와 관련이 있다. 이 연구는 부모의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의 탐욕을 억제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와 청소년의 핵심 자아 평가가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한다.

#핵심 자아 평가 (core self-evaluations)
핵심 자아 평가는 개인의 자아존중감, 일반화된 자기효능감, 감정적 안정성, 통제 위치로 구성된 자기 가치와 능력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를 의미한다.
1) 긍정적인 자기평가 촉진
2) 탐욕의 대안 제시
: 핵심 자아 평가가 높은 청소년은 환경의 불확실성에 직면했을 때 탐욕이 아닌 더 건설적인 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물질적 또는 비물질적 소유에 대한 과도한 욕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심리적 자원 제공


[연구방법]
1. Study 1: 중국 산시성의 중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 데이터를 사용하여 마음챙김 양육과 청소년 탐욕 간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2. Study 2: 525쌍의 청소년과 그 주 양육자(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다중 소스 데이터를 통해 추가 증거를 제공했다.

[연구가설]
1. 마음챙김 양육은 청소년 자녀의 탐욕과 부적 상관이 있다.
2. 핵심 자기평가는 마음챙김 양육과 청소년 자녀의 탐욕 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

[주요 결과]

Fig. 4 Effects of mindful parenting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mindful parenting reported by primary caregivers on adolescent dispositional greed. MP_A: Mindful parenting perceived by adolescents, MP_P: Mindful parenting reported by primary caregivers, CSE: Adolescents’ core self-evaluations. N = 425. Control variables were adolescents’ gender and grades as well as their primary caregivers’ education levels and age. Values are standardized coefficients. * p < 0.05, ** p < 0.01, *** p < 0.001




1. 마음챙김 양육의 효과: 청소년이 인지한 마음챙김 양육과 주 양육자가 보고한 마음챙김 양육 모두가 청소년의 탐욕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2. 핵심 자아 평가의 매개 효과: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의 핵심 자아 평가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며, 이는 다시 청소년의 탐욕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3.자료 일관성: 두 독립적인 샘플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
4. 청소년 자녀가 보고한 지각된 양육 마음챙김은 주양육자에게서 보고된 양육 마음챙김과 중간~높은 상관이 있었다(r= .51). / t검정 시행 결과 청소년 자녀가 보고한 지각된 양육 마음챙김이 주 양육자에게서 보고된 것보다 근소하게 더 낮았다.

#높은 핵심 자기 평가가 탐욕을 억제하는 이유?
1.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 높은 핵심 자기 평가는 개인이 자신을 유능하고 가치 있다고 느끼게 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자기 인식은 탐욕을 통해 외부에서 보상을 찾으려는 동기를 감소시킨다.
2.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처 능력
: 핵심 자기 평가가 높은 사람들은 환경의 불확실성을 보다 잘 견뎌내고, 이를 탐욕이 아닌 더 건설적인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자신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물질적 소유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피할 수 있다.
3. 내적 자원의 풍부함
: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가진 사람들은 내적 자원이 풍부하여, 외부의 물질적 보상보다는 자신의 내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행동한다. 이는 탐욕적인 행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4.자아 보상 대신 자기 존중
: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가진 사람들은 물질적 소유를 통해 자아를 보상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가진 사람들은 이미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물질적 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5.긍정적 자기 개념과 행동의 일관성
: 핵심 자기 평가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러한 긍정적 자기 개념에 맞추어 행동하려고 한다. 이는 그들이 물질적 욕망에 의해 휘둘리지 않고 일관된 긍정적 행동을 유지하게 한다.



[이론적 및 실용적 시사점]
- 이론적 시사점: 부모의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 평가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탐욕과 같은 부정적 발달 결과를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실용적 시사점: 마음챙김 부모 훈련 및 중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도울 수 있다.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 횡단적 연구의 한계: 이 연구는 횡단적 설계로 인해 인과 관계를 확립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설계를 통해 인과 관계를 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문화적 한계: 모든 참가자가 중국에서 모집되었으므로 다른 문화에 일반화하기 전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가족 시스템 이론: 향후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마음챙김 양육이 청소년의 탐욕에 미치는 공동 영향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이 부모로부터 배운 마음챙김 기술이 청소년의 탐욕을 억제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결론]
마음챙김 양육은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 평가를 통해 탐욕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