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심리학 논문 분석하기

[논문] How does dispositional mindfulness enhance co-parenting quality? A dyadic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roles of self- and other forgiveness - Chow, T. S., Hung, S., Siu, T. S. U., Ng, C., & Ho, P. L. (2024).

by here, happy 2024. 7. 4.
반응형
How does dispositional mindfulness enhance co-parenting quality? A dyadic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roles of self- and other forgiveness  _ Chow, T. S., Hung, S., Siu, T. S. U., Ng, C., & Ho, P. L. (2024).

 

# 초록

성향적 마음챙김 (Dispositional mindfulness): 현재 순간에 대한 주의와 인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적용하는 성향

>   defined as the individual’s inner capacity and the general tendency to be aware of the moment-to-moment experience in a non-judgemental manner (Brown & Ryan,

2003).

-      마음챙김과 공동양육의 질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 자신, 대인관계 용서의 매개효과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로 마음챙김과 공동양육관계의 질사이의 관련성이 연구되었음.

-      자기 자신, 대인관계 용서의 순차적 매개효과 serial mediators를 분석

-      결과

> 성향적 마음챙김(Dispositional forgiveness)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질을 증가시킴 & 자기 용서, 타인 용서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발견

> 엄마와 아빠의 dispositional mindfulness는 자기자신과 파트너의 자기용서와 정적 상관

> 자기용서는 이후의 타인 용서를 예측

> 그러나, 오직 엄마의 타인 용서가 공동 양육관계의 질을 예측함 (아빠의 타인 용서는 예측 못함)

 

# 도입

-Coparenting: the process by which partners negotiate the shared caregiving role and coordinate parenting goals and efforts (Feinberg, 2003).

-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부모의 dispositional mindfulness는 공동양육의 질에 영향을 미침

> 그렇다면 어떠한 기제로 영향을 주는지 * 보고자 함!

>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yadic mechanism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optimizing future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 We proposed that dispositional mindfulness enhances coparenting quality via a chain of accommodative responses during conflicts, namely, marital-specific self-forgiveness, and interpersonal forgiveness.

 

# Dispositional mindfulness, self-forgiveness, and interpersonal forgiveness in coparenting relationships

-마음 챙김의 다 측면적인 틀

> 5가지 요소: 관찰, 묘사, 의식 있는 행동, 판단 없이 받아들이기, 비 반응

- dispositonal mindfulness vs. state mindfulness

1) dispositonal mindfulness: stable trait

2) state mindfulness: temporary mode of attention that is sustained by deliberate practice and it can fluctuat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연구의 필요성

> 공동양육의 과정에서 부모님은 공통적으로 화, 자기 부적절감, 자신과 배우자에 대한 실망감을 보고함(Lawrence et al., 2010).

> 공동 양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상대방의 부적절감을 용서하는 것은 필수적임.

 

#Dyadic influence and gender differences

- The use of dyadic analysis that examines both actor and partner process is more coherent with the interdependence perspective of coparenting.

 

- 본 연구의 가설

> H1: 부모의 기질적 마음챙김이 자신의 공동 양육 질과 파트너가 인지한 공동 양육 질을 예측한다는 것을 조사한 다이어드 연속 매개 모델을 검토

> H2: 부모의 기질적 마음챙김이 자신의 자기 용서와 파트너의 자기 용서를 예측한다는 것을 조사

> H3: 부모의 기질적 마음챙김이 자신의 공동 양육 질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두 파트너의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를 증가시켜 자신의 공동 양육 질을 예측한다는 것을 조사

> H4: 부모의 기질적 마음챙김이 파트너의 공동 양육 질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두 파트너의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를 증가시켜 파트너의 공동 양육 질을 예측한다는 것을 조사

 

+) 개인의 자기 용서가 파트너의 대인 용서로 이어지는 경로를 검토하지 않았음. 이는 한 사람이 자기 자신을 용서하는 경향이 파트너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을 용서할 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확고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

 

#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

> 103명의 엄마-아빠 쌍

>  대다수가 고졸 이상(86.9%), 한 명의 아이(73.8%)

 

 

# 분석방법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링(SEM)로 분석.
  •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가 성향적 마음챙김과 자녀 양육의 질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5,000회 부트스트랩 리샘플링 사용.

 

# 주요결과

 

 

1. 성향적 마음챙김과 자녀 양육의 질

 

  •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성향적 마음챙김이 높을수록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가 증가하고, 이는 자녀 양육의 질을 향상시킴.
  • 성향적 마음챙김이 직접적으로 자녀 양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를 통한 간접 효과는 유의함.

 

 

 

2. 성별 차이

 

  • 어머니의 대인 용서가 자녀 양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했으나, 아버지의 경우 그렇지 않음.
  • 어머니는 자신의 성향적 마음챙김이 자녀 양육의 질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를 통해 유의하게 나타남.

 

# 결론

이 연구는 성향적 마음챙김이 자녀 양육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명확히 하고, 이 관계가 자기 용서와 대인 용서를 통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특히 어머니의 경우, 성향적 마음챙김이 자녀 양육의 질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기반 개입의 유용성을 시사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제언

 

  • 미래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관점을 포함하고, 종단적 연구를 통해 인과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 특수한 요구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부모 소진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

 

 

 

 

 

출처: Chow, T. S., Hung, S., Siu, T. S. U., Ng, C., & Ho, P. L. (2024). How does dispositional mindfulness enhance co-parenting quality? A dyadic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roles of self-and other-forgiveness. Current Psychology, 1-1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