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윤혜영(동부Wee센터), 강지현(동덕여대)
주요어: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매개효과
도입 |
대인관계문제란?
: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부정적인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여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현상>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대인관계 문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인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하나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때, 수치심이 매개변인으로 대두됨.
수치심이란?
: 타인에게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고 느낌
: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이자 평가적인 반응임.
- 냉정함, 내향성, 비주장성, 착취 및 과도한 표현에 문제가 있음.
ex. 정해진 규칙을 위반하거나 잘못을 했을 때 실제적인 대중이 없음에도 불구도하고 가상의 대중을 스스로 형성하여 자아에 대한 비난의 경향을 나타내게 되고
ex. 가치 없거나 힘없는 느낌을 가지게 함으로써 대인관계에서 작아지거나 움츠러드는 반응을 일으킴.
ex. 대인관계 상황에서 회피하거나 철수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함.
- 선행 연구 中
역기능적 가정환경과 수치심의 높은 관련성을 제시한 연구 (부정적 양육태도와 수치심의 관계)
>역기능적 가정환경1: 과보호적인 부모의 양육태도
-> 아동의 자율성 발달을 방해 -> 자신이 시도하는 것은 실패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새로운 활동을 회피하고 스스로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게 됨
>역기능적 가정환경2: 거부적인 부모의 양육태도
-> 아동으로 하여금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게 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일반화된 두려움을 갖게하여 수치심에 취약하게 됨.
>역기능적 가정환경3: 부모의 방임적이고 정서적 학대와 같은 부정적 양육태도
-> 청소년기 자녀의 수치심에 영향을 줌
구체적인 연구가설
1. 대학생이 지각한 부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부분 매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부분 매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방법 |
-연구 대상 및 연구절차
>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6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 설문조사
> 총 428명 참여 -> 불성실한 응답 및 누락응답 제외한 380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함. (여 222명,남 158명)
-측정도구
1) 부모양육태도 ( likert형 4점척도)
- 스웨덴에서 제작된 '양육에 대한 나의 기억'척도를 번안한 것으로 측정함
- 총23문항이며 애정, 거부, 과보호 등의 3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음.
(애정 ex. 부모님은 내가 최고가 되도록 자극하고 격려해 주셨다 / 거부 ex. 부모님은 내가 잘못한 것 이상으로 나를 꾸중하시고 매를 때리셨다./ 과보호 ex. 부모님은 내가 하는 일에 사사건건 간섭하셨다.)
-부정적인 양육태도 측정을 위해 애정에 해당되는 문항은 역채점 처리함.- 점수가 높은 경우 부모님의 애정적인 자극과 격려가 결여된 것으로 해석함.
2)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likert형 5점척도)
- 수치심을 측정하는 24개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타당화함.
- 부적절감 ex. 나는 스스로 꽤 괜찮다고 느낀 적이 없다.
- 공허감 ex. 나의 외로움은 텅 빈 공허함과 같다.
- 자기처벌 ex. 나는 실수를 하면 몽둥이로 내 자신의 머리를 내리치고 싶다.
- 실수불안 ex. 다른사람들이 내 결점을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3) 대인관계문제 척도
-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의 4가지 하위요인을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여 측정함.
-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를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함.
-자료분석
> SPSS17.0과 AMOS 18.0을 사용함.
> 자료가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변수의 왜도와 첨도를 확인함.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 + 부트스트랩 절차를 활용함.
(*부트스트랩 절차: 모수 분포를 알지 못할 때 모수의 경험적 분포를 생성시키는 방법 / 본 자료에서는 1000개의 표본을 원자료(N=380)로부터 생성하여 신뢰구간 95%에서 간접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함)
결과 |
1. 기술통계 분석
1) 부의 양육태도--> 모의 양육태도,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정적상관을 보임.
2) 모의 양육태도->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정적상관을 보임.
3)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 정적상관을 보임.
2. 측정모형 검증: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사함
>TLI와 CFI는 .90이상이면 좋은 적합도임.
> RMSEA는 .05미만이면 좋은 적합도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모형이 자료를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음.
3. 연구모형 검증
- 부와 모의 양육태도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직접경로를 제외한 모든 직접경로가 그림 2와 같이 유의미했음
- 유의미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한 수정모형(그림3)을 경쟁모형으로 설정
4. 최종모형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 매개효과 검증결과, 간접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 부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내면화된 수치심을 완전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p<.05).
- 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완전매개하여 대인관계문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p<.01).
논의 |
-연구의 주요 결과가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 이를 상담 장면에 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주요결과
1. 지각된 부와 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내면화된 수치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2.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3. 지각된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와 모의 양육태도 모두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남.
주요결과가 갖는 의미
- 대인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자기노출이란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하는데 그러한 노출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지각과 평가가 부정적일 경우 자기노출이 쉽지않게되고, 그 결과 대인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담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
1.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효과적으로돕기 위해서는이들 부와 모의 양육 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 부모의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경우
:: 내담자- 상담 장면에서 상담가의 피드백 역시 자신에대한평가및거절로인식해서과민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큼.
::상담자- 내담자의 대인관계 패턴을 인식하여 따뜻하며 일관된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안전한 치료관계를 형성해야 함.
+ 내담자의 대인관계 패턴이 내면화된 수치심으로인해 더욱강화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조력할 필요가 있음.
2. Wurmser(1981)는 수치심은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간의 불일치에서 일어난다고 봄.
>> 상담가는 내담자의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간의 불일치가 어떻게 해서 형성된 것인지를 찾을 수 있도록 조력하여 내담자로 하여금 이를 의식영역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야 함.
3. 부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해 발생된 내면화된 수치심은 상담관계에서의 새로운 정서적 경험을 통해 수정, 변형되어질 수 있을 것임.
∴ 상담자는 내담자의 최초관계에서 학습되었던 것을 이해하는 과정과 치료자와의 새로운 관계에서 일어나는 정서적 경험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임
-> 이유: 대부분 언어영역 밖에서 일어나는 몸의 경험으로 형성되는 초기관계에서의 내면화된 경험을 이후에 수정하려면, 정서적인 관계 속의 경험적인 차원에서만 접근 가능하기 때문.
4. 내면화된 수치심의 발생을 줄이는데는 근원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하므로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의 역할을 인지하고 수정해나갈 수 있는 사회적 차원에서의 역할이 필요함.
제한점
1.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 연구결과를 모든 대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 O
2. 본 연구결과로 변인 간 인과관계로 단정하기 에는 제한O
-> 다른 연구설계(예, 실험 연구, 종단연구)를 적용해서 본 연구에 포함된 주요 변인 간 인과관계가 동일하게 검증되는 지 확인할 필요O
3. 사용된 척도들이 자기보고 방식으로 이루어졌기에, 응답의 왜곡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는 무의식적이며, 자각될 때 고통스러운 경험을 유발하는 정서-> 응답 상황에서 억압되 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답변이 왜곡되었을 가 능성 또한 존재함.
+)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관찰과 투사검사, 개인적 면담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해 볼 필요 O
4. 본 연구에서 사용된 대인관계문제척도의 경우 원척도와 달리 정제 과정에서 다수의 문항이 삭제되어 결과 해석 에 주의가 요구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