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심리학 논문 분석하기

[국내 논문] 上 자기 구성과 역기능적 태도가심리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 황인애, 이훈진, 안도연 (서울대 심리학과) 中 연구1

by here, happy 2022. 7. 16.
반응형

 

 

자기 구성역기능적 태도가 심리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

- 황인애, 이훈진 교수님, 안도연 (서울대 심리학과) / 석사 학위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

 

연구1.  자기 낙인의 개념적 정의에 맞추어 사회적 낙인을 내재화하는 과정에는 자기구성개념이 중심역할을 할 것이며 도움추구를 자기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정도에는 역기능적 태도가 핵심역할을 할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살펴봄.

 

 

 

주요어: 자기낙인, 도움추구, 자기구성, 역기능적 태도

 

KEY WORD정리

 

*자기구성: 개인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지각하는 방식을 말하며, 개인의 목표, 동기, 인지과정을 반영한다.

*독립적 자기구성: 자신을 사회적 맥락에서 분리하여 경계가 뚜렷하고 자율적인 존재로 보는것이다.

*상호의존적 자기구성: 자기를 자신이 속한 집단의 확장으로 인식하며,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정의한다.

 

 


두가지 연구를 진행함

연구1. 자기 낙인의 개념적 정의에 맞추어 사회적 낙인을 내재화하는 과정에자기구성개념이 중심역할을 할 것이며 도움추구를 자기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정도에는 역기능적 태도가 핵심역할을 할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살펴봄.

 

연구2. 역기능적 태도 수정이 상담 이점 교육에 비해 자기낙인 감소와 상담의도 증가에 효과적인지 탐색함.


연구1. 심리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자기낙인화 과정에서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의 역할

 

- 독립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의 보호요인이 될 것이며, 상호의존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의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보았음.

- BUT, "독립적인 자기를 가진 사람들도 사회적 자기상이 취약해지지 않더라도 본인 스스로의 내재적 기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경직되면 자기 낙인으로 향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 -> 역기능적 태도가 자기낙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봄

 

-가설

1) 독립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과 부적 상관을 보이고 관계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과 정적 상관을 보일것이다.

2) 역기능적 태도는 자기낙인과 정적 상관을 보일 것이다.

3)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가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성차가 나타날 것이다.

 


방법 

 

- 연구 참여자

: 서울 소재 4년재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및 학내 모집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짐 /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총220명이 참여함 / 평균연령은 만 21.44세 / 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은 36명, 상담 경험이 없는 사람은 173명

 

- 측정도구

 1) 독립적 자기구성 척도 

 2) 관계적 - 상호의존적 자기구성 척도

 3) 역기능적 태도 척도

 4) 사회적 낙인 척도

 > 상담 및 심리치료와 같이 전문적 도움을 받는 것과 관련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함.

 5) 자기낙인 척도

  > 개인이 심리적 도움을 구할 때 자존감이나 자기가치감이 얼마나 변화하는지 주로 유능성 영역에 한해 질문하고 있음.

 6) 상담의도 척도 

  > 문제 발생 시 어느정도 상담을 받고 싶을지를 평정함

 7) 심리적 고통

  > 불안, 우울, 정서/행동 통제력 상실을 측정함.

 

- 통계 분석

> 209명의 자료에 대해 측정된 변인들의 기술통계치를 구함 / 성차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함.

>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

>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상담 의도의 관계, 자기구성, 역기능적 태도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

>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위한 3.2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부트스트랩 기법을 적용함. (*부트스트랩 방식 :분포의 모양에 대한 가정 없이 비모수적 반복표집 기법에 의해 간접효과의 경험적 표집분포를 구성하여 유의성을 검증하는 방식)

 

 

결과

1) 기술통계 및 성차

 > 자기구성, 역기능적 태도,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음.

 > 독립적 자기구성: > 여

 > 상담의도와 그 하위요인(대인관계, 학업, 알코올/약물, 일반적) 및 심리적 고통: 남 <  

 

2) 자기낙인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1)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의 관계

 > 관계적 자기구성은 의존 역기능적 태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임

 

+)

 > 사회적 낙인은 전체 역기능적 태도 수준과 성취 역기능적 태도 수준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임.

 > 자기낙인과 독립적 자기구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관계적 자기구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음.

 : 자기 개념을 타인과 별개로 짓는 사람(독립적 자기구성)자기 낙인과 부적 상관이 있다. 

 

> 자기낙인역기능적 태도수준, 사회적 낙인과정적 상관을 보임

 

> 상담의도와 사회적 낙인 / 상담의도와 자기낙인 -> 부적 상관

 

> 심리적 고통과 독립적 자기구성 -> 부적상관

 : 독립적 자기구성을 가진 사람은 심리적 고통을 덜 받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음.

 

> 심리적 고통과 역기능적 태도 / 심리적 고통과 상담의도 -> 정적 상관

 : 심리적 고통은 역기능적 태도와 상담의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다! 

 

3)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가 자기낙인에 미치는 효과 분석

(1) 독립적 자기구성과 자기낙인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태도의 역할

(2) 관계적 자기구성과 자기낙인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태도의 역할

 

4) 상담의도에 대한 자기낙인의 고유효과

 >기존에 상담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변인들(성별, 심리적 고통, 상담경험여부, 사회적 낙인)을 통제하고도 자기낙인이 상담의도에 고유한 효과를 가진다.

 

5) 사회적 낙인과 상담의도의 관계에서 자기낙인의 매개효과

>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낙인이 상담의도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미했음.

BUT

> 자기낙인을 고려하면 사회적 낙인과 상담의도의 직접적인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음. 

> 자기낙인은 사회적 낙인이 상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함.

 

 

논의

**주요 결과**

- 독립적 자기구성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낮아짐.

- 관계적 자기구성과 자기낙인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음

- 역기능적 태도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높아짐.

 

- 자기낙인은 성별, 심리적 고통, 상담경험, 사회적 낙인을 통제한 후에도 상담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

- 사회적 낙인이 상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함.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됨

: 독립적 자기구성은 자기 낙인화 과정에서 보호요인이 되는 반면, 관계적 자기구성이 위험요인이 되는 것은 아님.

☆가설2는 지지됨

: 역기능적 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높아짐.

 

- 사회적 낙인보다 자기낙인이 상담의도와 더 높은 상관을 보임 -> 자기낙인이 상담의도에 더 중요한 변인임.

 

 

-남성의 자기낙인 수준이 의존적 역기능적 태도가 아닌 성취 역기능적 태도 수준에 의해서만 예측된다는 결과 -> 남성이 심리적 도움 추구를 성취 혹은 유능감에 대한 위협사건으로 지각할 가능성을 시사함.

 

-남성에게서만 의존 역기능적 태도수준이 증가할수록 상담의도가 증가하는것 -> 남성 성역할 갈등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음.

: 사회적으로 남성에게 독립적이고 논리적이며 침착할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성역할에 따르지 않다고 느낄때 남성 성역할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성역할 갈등이 심할수록 상담 의도가 높았음.

 

>>>역기능적 태도는 자기낙인 수준을 높임 따라서 연구 2에서는 역기능적 태도 변화에 초점을 둔 개입이 자기낙인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상담의도를 증진시키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계획함.

 


핵심 요약

>>두가지 연구를 담은 논문
>>이번 스터디에서는 연구1 파트를 읽음
 
>연구1의 목적: 심리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자기낙인화 과정에서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의 역할을 알아봄
 
-가설
1) 독립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과 부적 상관을 보이고 관계적 자기구성은 자기낙인과 정적 상관을 보일것이다.
2) 역기능적 태도는 자기낙인과 정적 상관을 보일 것이다.
3) 자기구성과 역기능적 태도가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성차가 나타날 것이다.
 
 
-주요 결과
1) 독립적 자기구성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낮아짐.
2) 관계적 자기구성과 자기낙인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음
3) ☆역기능적 태도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낙인이 높아짐.
 
연구2에서 --> 역기능적 수준을 낮추는 것이 상담 의도를 증진시키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
 

다음 포스팅은 연구2를 읽어봅시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