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뇌를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론을 공부하면서 여러번 접했지만 늘 볼때마다 도대체 어떤 기제로 무엇을 알고자 하는 것들인지 헷갈린 적이 많았어서
이렇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처럼 이 부분에 대해 공부하고 계시거나 이에 대해 확실히 알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뇌전도 EEG (Electroencephalogram)
: 두피에 전극을 부탁하여 뇌의 자발적인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기법
- 연구자들은 뇌전도를 통해 다른 층의 의식상태에서의 뇌가 어떤 전자파를 만들어내는지 알 수 있음.
- 수면 연구에서 널리 사용됨
> 수면의 단계와 꿈 연구
#컴퓨터 단층 촬영술 CT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 뇌 주위를 도는 여러개의 x-ray 카메라를 이용하여 뇌 구조의 삼차원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
- 오직 뇌 구조에 대해서만 알 수 있고, 구조 마다의 기능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자기 공명 영상법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커다란 자석통 속에 인체를 들어가게 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체부위에 있는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해 재구성하여 영상화하는 기술
- 컴퓨터 단층 촬영술(CT) 와 달리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체에 무해함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영상기술로, 뇌 영역에서 나타나는 방사능의 양을 측정함.
-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의 동위원소를 의약품에 결합한 것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생리화학적, 기능적 영상을 3차원으로 얻는 핵의학 영상법
- 뇌의 어느 부분에서 화학 물질(ex. 포도당)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측정함으로써 특정 과제를 수행할 때 가장 활성화되는 영역인지 알 수 있음.
-각종 암을 진단하는 데 주로 활용되고 있음.
#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법 Funtional MRI (fMRI)
: 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하여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
- 자기 공명 영상법(MRI)의 요소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의 요소를 혼합한 새로운 기술로서 뇌의 혈류에 대한 정보를 통해 뇌 구조를 상세히 알 수 있음.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 신뢰도, 타당도, 표준화 (0) | 2022.08.31 |
---|---|
제임스-랑게 이론(James-Lange) vs 캐논-바드(Cannon-Bard) 이론 (0) | 2022.08.25 |
여키스- 도슨법칙(Yerkes-Dodson Law):: 여키스-도슨 법칙의 의미, 여키스-도슨 법칙의 뜻, 여키스-도슨 법칙의 정의 (0) | 2022.08.24 |
[심리학개론] 12장. 스트레스와 건강 (0) | 2022.08.08 |
[심리학개론] 6장. 언어와 사고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