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박 장애 (Gambling Disorder)
: 도박을 하고 싶은 충동으로 반복적인 도박을 하게 되는 경우로서 병적인 도박증(pathological gambling)이라고 하기도 함.
#도박 장애의 DSM-5 진단기준
도박장애는 12개월동안 다음 중 4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도박행동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일어나서 사회적, 적응적 부적응을 초래할 때 진단된다.
(1) 원하는 흥분을 얻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액수의 돈을 가지고 도박을 하려는 욕구를 지닌다. (2) 도박을 줄이거나 중단하려고 시도할 때는 안절부절못하거나 신경이 과민해진다. (3) 도박을 통제하거나 줄이거나 중단하려는 노력이 거듭 실패로 돌아간다. (4) 도박에 집착한다(예: 과거의 도박경험을 계속 떠올리고, 다음번에 돈을 걸었을 때 승산을 예상 하거나 계획하고, 도박을 해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한다). (5) 정신적인 고통(예: 무기력감, 죄책감, 불안감, 우울감)을 느낄 때마다 도박을 하게 된다. (6) 도박으로 돈을 잃고 나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 다음 날 다시 도박판으로 되돌아간다. (7) 도박에 빠져 있는 정도를 숨기기 위해서 거짓말을 한다. (8) 도박으로 인해서 중요한 대인관계, 직업, 교육이나 진로의 기회를 위태롭게 하거나 상 실한다. (9) 도박으로 인한 절망적인 경제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린다. |
#도박 장애의 원인과 치료
1)정신역동적 입장
(1) 원인
> 오이디푸스 갈등과 관련된 무의식적 동기로 도박 장애를 설명
> 공격적이거나 성적인 에너지를 방출하려는 욕구가 무의식적으로 대치되어 도박행동으로 나타난다고 봄.
(2) 치료법
> 도박에 자꾸 빠져들게 하는 무의식적 동기에 대한 통찰을 유도함으로써 도박행동을 감소시키고자 함.
2) 학습이론
(1) 원인
> 모방학습과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도박 장애를 설명
: 도박행동은 모방학습을 통해 습득되며, 도박에서 따는 돈이나 돈을 따는 과정 에서 느끼는 강한 홍분이 도박행동을 계속하게 만드는 강한 정적 강화물이 된다.
(2) 치료법
> 도박에 대한 매혹을 제거하고 오히려 혐오감을 형성시킴으로써 도박을 멀리하게 하는 혐오적 조건형성을 형성
3) 인지적 입장
(1) 원인
> 병적 도박자들이 인지적 왜곡을 지니고 있음.
> 이들은 자신이 돈을 따게 될 주관적 확률을 객관적 확률보다 현저하게 높게 평가함.
반응형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심리학] 품행장애 Conduct Disorder / 품행장애 DSM-5 진단기준, 원인, 예후, 유병률 (0) | 2023.07.15 |
---|---|
[이상심리학] 적대적 반항장애 ODD 의 원인 / 증상/ 유병률 / 치료 (0) | 2023.07.14 |
[이상심리] 알코올 사용 장애 DSM-5 진단기준 (0) | 2023.07.05 |
[이상심리학] 급식 및 섭식장애 ::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이식증, 반추장애,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 장애 (0) | 2023.05.21 |
[이상심리학] 수면- 각성장애 / REM수면과 비REM수면 / 불면장애, 불면증 진단기준 / 과다수면 장애 (0) | 2023.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