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

[데이트 폭력] 감정 표현 억제의 부메랑 효과: 관계의 힘, 정서, 청소년 및 청소년 남성의 데이트 폭력

by here, happy 2024. 10. 2.
반응형

청소년과 젊은 남성의 데이트 폭력 사용에서 권력, 정서, 감정 표현 억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음.
> 본 연구는 인지된 권력(통제와 지배), 정서(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감정 표현의 억압, 남성-여성 데이트 폭력의 사용 빈도 간의 연관성 모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 횡단면 및 상관 관계 연구의 참가자는 13세에서 25세 사이의 스페인 학생 786명이었다(M = 18.80; SD = 2.93)을 두 그룹으로  나눔
: 13 – 18 (청소년 316명, M = 15.58; SD = 1.02) 및 18 – 25 (462 젊은 남자, M = 20.79; SD = 1.98)로 나타났으며, 8명의 참가자는 나이를 밝히지 않음.
 
다양한 순차적 매개모형을 통해 오직 젊은 남성에서만 정서(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의 억압이 권력과 데이트 폭력 사용 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함.
 
동등한 관계를 육성하고, 긍정적인 감정 상태와 연관시키고, 낮은 권력 인식에서 비롯된 좌절감을 피하고, 젊은 남성에게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데이트 폭력의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키워드: 데이트 폭력 /  가해 / 권력 / 감정 표현 억제 


 
도입
 
데이트 커플 중 폭력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높은 유병률로 심각한 사회 및 건강 문제를 구성한다(Ybarra et al., 2016).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성인 간의 폭력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청소년 및 젊은 커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유형의 폭력에 대해서는 덜 주의를 기울였음(Jennings et al. 2017).
 
- 청소년기와 청년기(10세에서 25세까지)는 사람들이 첫 데이트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는 시기임.
> 이러한 관계는 개인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하지만 긴장과 갈등을 수반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결국 파트너에 대한 데이트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Wincentak et al., 2017).
 
-이 역학은 관계의 힘의 불균형과 이러한 긴장과 갈등에서 파생된 영향의 조절을 의미함. 관계에서의 권력은 지위 위계가 어디에나 있고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기에 특히 중요함(Schacter et al., 2023).
 
- 마찬가지로, 많은 연구가 데이트 폭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부정적 정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Armenti & Babcock, 2018).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및 젊은 남성에서 남성에 대한 데이트 폭력이 여성에게 가해지는 데 있어 권력(통제와 지배로 이해됨), 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 감정 표현의 억제의 역할을 조사
> 데이트 폭력은 함께 살거나 자녀가 없고, 재정적으로나 법적인 관련성이 없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성인들 사이의 친밀한 파트너 폭력과 다름
 
-커플이 관계에 있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오랫동안 데이트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서로 다르며, 의견은 하루 (Harned, 2001)에서 최소 한 달 (Magdol et al., 1998)까지 다양함.
> 그러나 데이트 관계가 짧더라도, 그것은 젊은 사람들의 사회 생활에서 여전히 중요한 부분임.
> 서구 국가에서는 데이트 관계와 성적 활동의 시작이 젊은 성인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규범으로 간주됨 (Van de Bongardt et al., 2015).
 
- 데이트 관계는 발생하는 발달 기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진화론적 관점에 따르면 두 가지 뚜렷한 연령 그룹이 확인됨: 청소년 (13-17세)과 젊은 성인 (18-25세) (Ibabe et al., 2020).
> 이 그룹은 여전히 주로 청소년기와 젊은 시절에 부모의 지원에 의존하면서 또래 및 연애 관계 내에서 자율성을 얻고 있음(Smetana et al., 2006).
> 그들의 연애 관계는 주로 오락적이고, 비공식적이며, 단기적인 것 (Collins et al., 2009)에서 친밀감이 증가하고 더 긴 지속 기간으로 변화할 수 있음 (Arnett, 2014).
> 젊은 성인들은 종종 직업 개발이나 구직과 같은 새로운 책임과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하게 되며, 이는 그들의 관계 내에서 갈등을 증가시킬 수 있음(Meier & Allen, 2009).
 
- 데이트 폭력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그 추정치는 매우 다양
> 최근 리뷰에서는 심리적 폭력에 대해 19.9%에서 95.3% 사이, 신체적 폭력에 대해 4.8%에서 37% 사이, 성적 폭력에 대해 1.6%에서 43.6% 사이의 비율이 발견되었음 (Tomaszewska & Schuster, 2021).
> 공격성 비율의 성별 차이에 대한 결과도 결론이 나지 않았음.
> 폭력에 대한 상호 참여가 데이트 폭력에서 가장 일반적인 패턴으로 확인되었지만(Foshee & Matthew, 2007), 성폭력의 경우를 제외하고 (Krahé et al., 2015), 기존 문헌은 남성이 더 심각한 형태의 공격을 저지르는 경향이 있으며, 여성은 데이트 폭력 피해의 신체적 및 심리적 결과를 더 많이 보고한다고 나타냄 (Reidy et al., 2016).
 
- 다양한 연구가 데이트 폭력을 성별과 권력의 이론과 연결하고 있음(Giordano et al., 2010).
> 이 이론은 관계에서 존재하는 불평등이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여성의 통제를 제한한다고 주장(Buelna et al., 2009).
> 남성의 "권리" 또는 다른 말로, 남성이 본질적으로 특권이나 특별한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믿음은 젊은 남성이 데이트 폭력을 저지르는 주요 동기 요인임 (Reidy et al., 2015).
> 이 믿음을 형성하는 주요 원칙에는 남성 가해자에 의한 데이트 폭력의 수용, 전통적인 성 역할과 남성 우월성의 가정, 성 역할 간의 인식된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포함됨(Reidy et al., 2015).
 
- 권력과 남성-여성 폭력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다른 이론이 발전
 
1) 첫 번째는 페미니스트 이론에 기반한 것으로 (Disch & Hawkesworth, 2016), 남성과 여성 간의 권력 불균형이 친밀한 관계에서 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

- 남성 간의 전통적인 사회 규범은 남성의 권력을 강조하고, 파트너를 지배하려는 태도와 감정적으로 단절된 느낌을 강화할 수 있으며, 여성 간의 이러한 규범은 복종과 수동성을 조장함(Eaton & Rose, 2011).
> 이 관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에서 권력이 공유되고 결정이 합의에 의해 이루어질 때 폭력 수준이 낮아지며, 반대로 권력이 커플의 한 구성원에게만 있을 경우 폭력의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주장함(Kaura & Craig, 2004).
- 4000명 이상의 젊은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관계에서 지배의 정당화가 더 강할수록 남성-여성 폭력이 더 많고, 여성에 대한 폭력 행동을 학대라고 인식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 (Díaz-Aguado & Martínez, 2015).
 
2) 두 번째 관점은 친밀한 관계에서의 권력 역학이 더욱 복잡하다고 주장
- 개인의 기본적인 필요와 목표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은 파트너의 협력과 지속적인 투자에 의존하기 때문(Kelley & Thibaut, 1978).
> 커플의 두 구성원 간의 이러한 상호 의존성은 서로의 권력을 제한함.
 
- 따라서 남성과 여성 모두 파트너에게 의존하게 되며, 이는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면서도 그 권력을 제한하는 상황(Rusbult & Van Lange, 2003; Simpson et al., 2015).
>  But, 권력의 상실은 남성에게 여성보다 더 도전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그들의 남성성에 대한 위협을 초래하기 때문 (Overall et al., 2016).
> 낮은 권력 인식과 파트너에 대한 더 많은 공격성 간의 연관성을 입증하는 많은 경험적 증거가 있다 (Overall et al., 2016).
- 남성은 관계에서 자신의 권위와 지배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성 파트너의 권력을 제한하기 위해 더 많은 강압적이고 공격적인 전략을 사용함(Hall & Canterberry, 2011).
> 이러한 전략의 사용은 이상적인 남성 역할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남성성 역할 (또는 불일치) 스트레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남성성 부족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격성을 유도함(Harrington et al., 2021; Reidy et al., 2015).
- 공격성은 힘, 강인함 및 독립성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따라서 남성이 자신의 남성성을 재확립하는 효과적인 방법 (예: Dahl et al., 2015).
> 남성성에서 힘의 중심성과 남성성에 대한 위협이 공격성을 촉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결합되어, 남성이 관계에서 낮은 힘 수준을 인식하는 상황에서 더 공격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함.
 
- 힘에 대한 이론은 커플 내의 폭력적 경험의 전체 범위에 관련된 정서적 과정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음 (Giordano et al., 2016).
>개인의 힘 상실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폭력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관련된 요소일 수 있음.
 


#정서와 데이트 폭력 가해
- 연구자들은 권력 이론에서 커플 간 폭력 경험의 전 범위에서 발생하는 감정적 과정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음(Giordano et al., 2016).
- 개인의 권력 상실에 대한 감정적 반응은 폭력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

- 데이트 폭력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부정적인 감정, 특히 분노와 질투에 집중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이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가해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줌(Armenti & Babcock, 2018; Norlander & Eckhardt, 2005).
- 예를 들어, 메타 분석에서는 친밀한 파트너 폭력이 분노, 적대감 및 부정적 감정의 내면화와 중간 정도로 연관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됨(Birkley & Eckhardt, 2015).

- 또한, 청소년과 젊은 남성들이 가까운 관계에서 상대방에게 지배당하는 느낌을 받을 때, 그들은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고 우울과 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높으며(Buist et al., 2017), 이러한 감정 때문에 데이트 폭력을 사용해 파트너를 지배함으로써 자신을 확인하려 할 가능성이 높아짐(Díaz-Aguado & Martínez, 2015).

- 실험적으로 남성성을 위협받는 상황에서 분노를 유발하고, 그 결과 자신의 남성성을 회복하려는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도 발견되었음(Weaver & Vescio, 2015).
- 청소년 남성들이 관계에서 자신의 권력을 상실했을 때, 파트너의 외모와 행동을 통제하거나, 외도를 하거나 외도를 위협하며, 성적 및 신체적 폭력을 사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 관찰됨(Lopez et al., 2012).

#감정 조절: 감정 표현 억제의 역할
-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개인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는 능력
- 감정 조절 과정 모델에 따르면, 감정 억제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작동하는 전략으로, 이미 활성화된 감정적 반응의 행동적 요소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함(예: 대인 갈등을 해결하는 동안 분노의 표정을 숨기기)(Gross, 2015).
- 메타 분석적 리뷰에 따르면, 감정 표현 억제는 감정적 반응을 수정하는 데 작은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었음(Webb et al., 2012).
- 더 나아가, 감정적 경험이나 해당 사건에 대한 생각을 억제하는 것보다 감정 표현 억제가 더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남
> But,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 표현을 통제할 수 있다고 해서 반드시 감정적 경험 자체를 억제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며, 이는 생리적 활성화가 없는 것도 아님을 의미하지 않음.

-But, 감정 표현 억제가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항상 적응적인 전략은 아님
> 예를 들어, 이 전략을 융통성 없이 사용할 경우 공격적인 행동과 연관될 수 있음(Norström & Pape, 2010).
> 어떤 경우에는 억제 전략이 부정적인 감정 경험을 증가시키고, 의사결정 과정을 방해하며, 대인관계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생리적 흥분을 증가시키고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는 데 방해가 되어 공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Roberton et al., 2012).

>이는 “부메랑” 효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감정 표현 억제를 통해 낮은 관계 권력에서 발생하는 높은 부정적 감정과 낮은 긍정적 감정을 줄이려 하다가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가 발생하는 상황임
> 감정적 고통이 감소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며, 이는 데이트 폭력의 빈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음.

현재 연구 current study
- 앞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인지된 권력과 남성이 여성에게 가하는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및 감정적 조절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 더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촉진하기 위함

- 이 연구의 목적은 남성들 사이에서 인지된 권력(통제와 지배력),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감정 표현 억제 및 데이트 폭력 사용 간의 관계 모델을 분석하는 것임.
- 두 연령대(13~18세 청소년과 19~25세 청년)를 각각 따로 분석할 예정임
 
# 연구 가설

  1. 청소년 그룹과 청년 그룹 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 그룹은 새로운 책임을 떠맡고 더 많은 스트레스 요인들을 경험하기 때문에, 더 낮은 통제와 지배력, 더 부정적이고 덜 긍정적인 정서, 더 많은 감정 표현 억제, 그리고 청소년들보다 더 많은 데이트 폭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가설 1).
  2. 관계에서 낮은 인지된 통제(가설 2)와 지배력(가설 3)은 전체 표본과 두 연령대 모두에서 더 높은 빈도의 공격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며, 특히 청년 그룹에서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입니다.
  3. 관계에서 낮은 인지된 통제(가설 4)와 지배력(가설 5)은 부정적 정서의 증가와 긍정적 정서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이는 감정 표현 억제의 증가와 연관되어 데이트 폭력의 사용 빈도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청년 그룹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4. 마지막으로,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는 낮은 인지된 관계 권력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입니다. 부정적 정서가 높고 긍정적 정서가 낮으며 감정 표현 억제가 클수록, 낮은 인지된 권력과 데이트 폭력 빈도의 증가 간의 관계가 강화될 것이며, 이는 주로 청년 그룹에서 두드러질 것입니다(가설 6).

방법
 
샘플
-초기 표본(편의 표본 추출)은 956명의 청소년과 젊은 남성으로 구성

+) 다음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사람들(N = 170)은 제외되었음
: 25세 이상인 사람 14명, 학생이 아닌 사람 10명, 스페인이 아닌 다른 나라 출신인 사람 61명, 동성 파트너와의 관계를 가졌거나 가지고 있는 사람 22명, 한 번도 파트너를 가져본 적이 없는 사람 24명, 한 달 미만의 관계를 유지한 사람 30명, 파트너와 함께 살았거나 살고 있는 사람 8명, 자녀를 둔 사람 1명. 최종 표본은 13세에서 25세 사이의 이성애자 스페인 남학생 786명(M = 18.80; SD = 2.93)으로 구성
- 청소년 그룹(1317세, n = 316)의 평균 연령은 15.88세(SD = 1.02)였고, 젊은 성인 그룹(1825세, n = 462)은 20.79세(SD = 1.98)
- 여덟 명의 참가자는 나이를 알리지 않았음

- 전체 표본 중 거의 3분의 2(n = 498; 63.4%)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으며, 4분의 1 이상(n = 211; 26.8%)은 대학교에 재학 중이었습니다.

-나머지 3.1%(n = 24)는 사설 학원이나 음악원 같은 다른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이었습니다. 나머지 6.7%(n = 53)는 이 질문에 답하지 않았음.
-청소년 그룹에서는 거의 모든 참가자가 고등학생(n = 314, 99.4%)이었으며, 1명(0.3%)은 대학교에, 다른 1명(0.3%)은 다른 교육 기관에 등록되어 있었음.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 184명(39.8%)이 고등학생, 210명(45.5%)이 대학생, 23명(5%)이 다른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이었으며, 45명(9.7%)은 등록 상태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연애 상황에 대해서는 43.1%(n = 339)가 연구 당시 누군가와 교제 중이었으며(청소년: n = 100, 31.6%; 젊은 성인: n = 239, 51.7%), 92.4%(n = 726)가 과거에 교제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청소년: n = 300, 94.9%; 젊은 성인: n = 426, 92.2%).

-연애 횟수
>  1회에서 20회 사이였으며, 81.7%는 한 명(n = 259, 33%), 두 명(n = 233, 29.6%) 또는 세 명(n = 150, 19.1%)과 연애한 적이 있다고 답함. 14%는 네 명(n = 51, 6.5%), 다섯 명(n = 41, 5.2%), 또는 여섯 명 이상의(n = 38, 4.9%) 연애 경험이 있다고 답함. 14명(1.7%)은 이 질문에 답하지 않았음.

> 청소년 그룹에서는(범위 120) 112명(35.4%)이 한 번, 90명(28.5%)이 두 번, 52명(16.5%)이 세 번, 18명(5.7%)이 네 번, 20명(6.3%)이 다섯 번, 20명(6.3%)이 여섯 번 이상의 연애를 했다고 답했습니다. 4명(1.3%)은 연애 횟수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범위 110) 147명(31.8%)이 한 번, 143명(31%)이 두 번, 98명(21.2%)이 세 번, 33명(7.1%)이 네 번, 21명(4.5%)이 다섯 번, 18명(3.9%)이 여섯 번 이상의 연애를 했다고 답했습니다. 2명(0.5%)은 연애 횟수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처음으로 연애를 시작한 평균 연령
> 전체 표본에서 15.44세(SD = 2.84; 범위: 6~25세)였으며, 청소년 그룹에서는 14.53세(SD = 3.39),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 16.05세(SD = 2.21)였음.
 
 
절차
연구 설계는 단면적, 기술적 및 상관적이었다.
- 설문지는 가능한 오류를 식별하고 응답 시간을 추정하기 위해 10명의 참가자에게 온라인으로 배포된 파일럿 연구에서 시행되었다. 최종 버전의 설문지는 두 가지 형식으로 제공되었으며, 109명의 참가자(12.8%)가 Qualtrics 플랫폼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740명의 참가자(87.2%)가 종이 형식으로 작성함.
 
- 평균 응답 시간은 30 – 40분
- 연구팀은 네 명의 연구자(심리학 및 사회 교육 학생)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페인의 다양한 학교와 대학의 교장에게 이메일을 보내 연구의 연구 목표를 설명하고 참여를 요청함. 참여하기로 동의한 학교는 전화로 연락하여 데이터 수집을 계획하고 수행함
- 총 6개의 대학과 10개의 고등학교가 참여하기로 동의함.
- 관심 있는 학교는 부모에게 알리고 동의서를 수집함.
 
-연구에 참여하도록 허가받고 동의한 학생들은 모든 교실에서 정해진 시간에 종이 형식으로 설문지를 자발적으로 작성함.
- 연구팀이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종이 설문지를 작성한 참가자의 비율(81.5 – 86.1%) 또는 온라인으로 Qualtrics 플랫폼을 사용한 비율(12.9 – 18.5%)은 학교, 대학 및 기타 기관에서 비슷했음.
 
-또한, 눈덩이 방법을 따라 연구자들은 링크를 공유하고 소셜 네트워크(Facebook, Twitter 등)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WhatsApp)를 통해 연구를 전파함

-이메일로 잠재적 참가자에게 링크를 보냈습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컴퓨터의 IP 주소가 기록되었음.
- 연구 프로젝트는 부르고스 대학교 윤리 위원회에서 승인되었습니다 (IR 20/2019). 이 연구의 샘플 크기, 변수, 초기 가설 및 계획된 분석은 OSF-Open Science Framework (osf.io/4zvxf)에 사전 등록되었음.
 
-측정 정보는 사회 인구학적 변수(성별, 나이, 출생지 및 교육 수준)와 관계 상태(성적 지향, 현재 및 과거의 데이트 파트너, 관계의 지속 기간, 관계 수, 첫 데이트 관계의 나이, 결혼 관계의 존재, 참가자가 파트너와 함께 살았거나 살았던 여부 또는 자녀가 있는지)에 대해 수집됨.
- 참가자의 성적 지향을 묻기 위해 행동 측정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가장 갈등이 있었던 현재 또는 과거의 파트너의 성별(여성, 남성 또는 기타)을 표시해야 했음.

-다음으로 다양한 설문지 배터리가 시행되었습니다. 척도에 응답하기 전에 참가자들은 가장 갈등이 있었던 데이트 관계에 대한 모든 질문에 답변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Cuestionario de Violencia entre Novios (CUVINO-R)/데이트 폭력 설문지 (DVQ-R) (Rodríguez-Díaz 외, 2017).
- 이 도구는 젊은 데이트 커플 간의 폭력 행위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20개 항목으로 구성 (α = 0.851; 청소년: α = 0.898; 젊은 성인: α = 0.805). 심리적 폭력 (α = 0.768; 청소년: α = 0.804; 젊은 성인: α = 0.741), 구성 요소: 분리(파트너에 대한 무관심의 태도와 감정; 예: "당신은 그들의 감정을 무시했습니다"); 굴욕(자존감과 개인적 자부심을 약화시키기 위한 발언; 예: "당신은 그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을 조롱합니다"); 강압(위협이나 조작을 통해 그들의 의지를 극복하고 행동을 통제하도록 압박하는 것; 예: "당신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신체적 폭력은 그들을 때리거나 그들이 소중히 여기는 개인 소유물을 손상시키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예: "당신은 파트너를 때렸습니다" (α = 0.853; 청소년: α = 0.918; 젊은 성인: α = 0.687). 성적 폭력은 원치 않는 성적 행동을 의미합니다; 예: "당신은 그들이 싫어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들을 만지려고 합니다" (α = 0.773; 청소년: α = 0.805; 젊은 성인: α = 0.745). 항목은 0(전혀 아님)에서 4(거의 항상)까지의 5점 리커트형 응답 척도로 평가됩니다. 항목의 합계가 계산되었습니다. 높은 점수는 데이트 폭력의 더 큰 빈도를 나타냅니다.
 
성 관계 권력 척도 (SRPS-M) (Pulerwitz 외, 2000).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축소 버전이 사용되었습니다. 항목은 두 개의 하위 척도로 나뉘었습니다 (α = 0.880; 청소년: α = 0.890; 젊은 성인: α = 0.873): 관계에서의 통제,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매우 동의함)에서 4(매우 동의하지 않음)까지의 4점 리커트형 척도로 평가됩니다 (예: "나는 우리의 관계에서 갇히거나 막힌 느낌이 듭니다") (α = 0.904; 청소년: α = 0.927; 젊은 성인: α = 0.885); 그리고 의사 결정에서의 지배,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당신의 파트너), 2(두 사람 모두 동등하게), 3(당신)으로 평가되는 3점 리커트형 척도입니다 (예: "누가 보통 누구의 친구와 나갈지에 대해 더 많은 발언권을 가집니까?") (α = 0.602; 청소년: α = 0.677; 젊은 성인: α = 0.539). 총 점수는 척도의 원 저자들이 제안한 공식을 따라 계산되었습니다 (Pulerwitz 외, 2000). 높은 점수는 더 큰 통제와 지배를 나타냅니다. 이 두 구성 요소(통제 및 지배)와 강압(데이트 폭력의 심리적 구성 요소) 간의 유사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그들의 연관 정도가 조사되었습니다. 결과는 강압이 지배와 유의미하게 연관되지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r = -0.053). 강압과 통제 간의 관계(r = -0.248, p ≤ 0.001) 및 지배와 통제 간의 관계(r = 0.279, p ≤ 0.001)는 유의미하지만 작은 효과 크기로 간주됩니다 (작은: r = 0.10; 중간: r = 0.30; 큰: r = 0.50) (Cohen, 1988). 따라서 이들은 겹치지 않는 측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척도 (PNA) (Bradburn, 1969).
 이 척도는 응답자의 친밀한 관계와 관련된 기분을 반영합니다.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하위 척도로 나뉩니다: 긍정적 정서(PA), 9개 항목 (예: "당신은 일이 원하는 대로 진행되었다고 느꼈습니까?") (α = 0.853; 청소년: α = 0.858; 젊은 성인: α = 0.840); 그리고 부정적 정서(NA), 9개 항목 (예: "당신은 파트너나 전 파트너에게 짜증이 났습니까?") (α = 0.830; 청소년: α = 0.833; 젊은 성인: α = 0.811). 항목은 1(전혀 또는 거의 없음)에서 4(거의 항상)까지의 리커트형 척도로 평가됩니다. 평균은 모든 점수를 합산하고 총합을 항목 수로 나누어 계산되었습니다. 높은 점수는 더 큰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를 나타냅니다.
 
감정 표현 억제
> 정서 조절 스타일 측정(MARS, Larsen & Prizmic, 2004; Puente-Martínez et al., 2018에 의해 스페인 인구에 맞게 수정됨).
 이 척도는 응답자의 기분이나 경험의 감정적 강도와 이를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측정합니다(이 경우, 친밀한 파트너와의 갈등 상황을 지칭함). 감정 표현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두 항목이 사용되었습니다
: "나는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하거나, 어떤 감정도 표현하지 않으려고 억제했다"와 "나는 실제로 느낀 감정과 반대되는 감정을 가장하거나 표현했다" (α = 0.779; 청소년: α = 0.765; 청년: α = 0.787). 응답 옵션은 0 =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6 = 항상 그렇다까지로 구성되었습니다. 평균 점수가 계산되었으며, 더 높은 점수는 이러한 대처 및 감정 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함을 나타냅니다. 두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Eisinga et al. (2013)의 권장사항에 따라 스피어만-브라운 계수도 적용되었습니다(α = 0.635; 청소년: α = 0.631; 청년: α = 0.630).
 
데이터 분석
- SPSS 통계 패키지(버전 25)가 사용되었음.
- 표본을 설명하고 데이트 폭력 가해의 유병률을 결정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이 수행됨
- 데이트 폭력의 유병률만을 결정하기 위해 이 점수들은 더미 변수(0 = 가해 없음, 1 = 가해)로 변환되었으며, “제로 톨러런스” 기준에 기반했습니다(해당 척도의 모든 항목에 대해 “절대 아니다”라고 응답하면 0이 되고, 어느 항목에서든 1 이상을 적으면 1로 처리). 나머지 분석(상관관계 및 매개 효과)은 데이트 폭력 변수를 연속 변수로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두 그룹(청소년과 젊은 성인) 간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해 독립 표본에 대한 Student의 t-검정이 적용되었습니다(가설 1).
- 예비 분석에서는 나이가 연구 중인 모든 변수와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냄(p ≤ 0.050).
- 설문지 관리 방식(온라인 또는 종이와 펜)에 따라 감정 표현 억제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종이와 펜 형식에서 점수가 더 높음; p ≤ 0.001).
-따라서 나이(전체 표본에서만)와 설문지 관리 방식(전체, 청소년, 젊은 성인 표본에서)은 분석(상관관계 및 매개 효과)에서 공변량으로 포함되었음
-두 그룹을 고려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부분 상관 분석이 수행됨(가설 2와 3).

- 총 여섯 개의 다중 순차적 매개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각각의 분석은 데이트 관계에서 권력의 두 가지 차원(통제와 지배)에 대한 것이었고, 전체 표본과 각각의 연령 그룹(청소년과 젊은 성인)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음.

-이 분석은 SPSS 25에서 PROCESS MEDIATE 매크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Hayes, 2018), 다음을 테스트하는 것이 목적이었음.
1) 모델 변수 간의 직접적인 관계(통제와 지배,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감정 표현 억제, 데이트 폭력)(가설 4와 5)
2) 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주 매개 변수: M1)와 감정 표현 억제(부 매개 변수: M2)를 통한 통제와 지배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설 6). 각 조건(예: 통제)의 특정 간접 효과는 다른 조건(예: 지배)을 통제하면서 추정되었습니다(모델 80).

- PROCESS 매크로는 직접, 총, 간접 효과와 표준 오차(SE), 백분위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분포를 기반으로 신뢰 구간(95% CI)을 추정
>이 방법은 재추출을 사용하여 원본 표본에서 시뮬레이션된 일련의 표본을 생성하고 표준 오차를 계산함(10000개의 표본이 추출됨).
>신뢰 구간이 0을 넘지 않으면 간접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됩니다(Hayes, 2018). 유의미성 수준은 p ≤ 0.05로 설정되었음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유형과 유병률
- 유병률을 계산할 때 제로 톨러런스 기준이 적용되었음.
> 즉, 설문지의 모든 항목 중 하나라도 긍정적인 응답이 있으면 데이트 폭력 가해로 간주되었음
> 가장 흔한 데이트 폭력 유형은 심리적 폭력이었으며, 그다음으로 성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이 있었습니다. 전체 데이트 폭력 발생률은 69.8%로 나타남.
> 모든 유형의 데이트 폭력 유병률은 청년 그룹(18~25세)이 청소년 그룹(13~17세)보다 더 높았습니다.

-카이제곱 검정 결과, 연령과 데이트 폭력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습니다(χ²(778) = 22.248, p ≤ 0.001), 특히 심리적 데이트 폭력(χ²(778) = 22.961, p ≤ 0.001)과 그 하위 차원들(분리: χ²(778) = 15.316, p ≤ 0.001; 굴욕: χ²(778) = 9.912, p ≤ 0.001; 강요: χ²(778) = 8.469, p = 0.004)에서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났지만, 신체적 및 성적 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표 1 참조).

 
청소년과 청년 간의 권력, 정서, 감정 표현 억제 및 데이트 폭력의 차이
표 2에 따르면, 청년 그룹(18-25세)은 청소년 그룹(13-17세)에 비해 데이트 폭력을 더 자주 사용하며, 지배력이 더 낮고, 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가 더 강하며, 감정 표현 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효과 크기는 작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팅 관계에서 가장 흔한 폭력 유형은 심리적 폭력이었고, 그 다음으로 성적 및 신체적 폭력이 뒤따랐다. 데이팅 폭력의 전 세계 비율은 69.8%였다.
모든 유형의 데이팅 폭력 유병률은 청소년 그룹에 비해 젊은 성인 그룹에서 더 높았다.
카이제곱 검정 결과, 나이와 데이팅 폭력 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χ²(778) = 22.248, p ≤ 0.001), 특히 심리적 데이팅 폭력과 관련하여 (χ²(778) = 22.961, p ≤ 0.001) 및 그 차원들 (탈착: χ²(778) = 15.316, p ≤ 0.001; 굴욕: χ²(778) = 9.912, p ≤ 0.001; 강제: χ²(778) = 8.469, p = 0.004), 그러나 신체적 및 성적 행동과는 관련이 없었다 (표 1).
 

 
 
 
 
데이트 폭력 가해, 지배력, 통제력, 정서 및 감정 표현 억제 간의 상관관계
- 데이트 폭력 사용은 인지된 통제력 및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배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음
- 부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는 데이트 폭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
> 이러한 모든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작았음

- 통제력과 지배력은 모두 부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와 부정적 상관관계를, 긍정적 정서와는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 이들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작았으며, 단 통제력과 부정적 정서 및 긍정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는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보임

- 부정적 정서가 더 높고 긍정적 정서가 더 낮을수록 감정 표현 억제의 빈도가 더 높았으며, 각각 중간 및 작은 효과 크기를 보였습니다.

- 마지막으로, 통제력은 지배력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모두 작았습니다(표 3 참조).

 
- 연령 그룹에 따른 분석 결과, 청년 그룹의 결과는 전체 샘플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지배력과 데이트 폭력 간의 상관관계는 부정적이고 유의미하게 나타났습니다. 통제력과 데이트 폭력, 지배력,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 지배력과 부정적 정서,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 부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 간의 상관관계는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보였음. 
- 반면, 청소년 그룹에서는 상관관계가 크게 달랐습니다. 데이트 폭력 빈도와 긍정적 정서, 통제력과 지배력, 통제력과 감정 표현 억제, 지배력과 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 지배력과 감정 표현 억제,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 간의 상관관계는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음. 
- 청년 그룹과 마찬가지로, 데이트 폭력 빈도와 지배력 간의 상관관계는 긍정적이고 유의미하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청소년 그룹에서는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청년 그룹과는 대조적입니다. 청소년 그룹에서 이러한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모두 작았으며, 통제력과 긍정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는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보임. 
 

#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가 통제와 지배, 그리고 데이트 폭력 가해 사이의 매개 변수로 작용함에 대한 해석:


- 전체 표본을 고려했을 때,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직접적 및 총 효과는 부정적이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통제가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의 발생이 줄어드는 경향을 의미함.

- 반면, 지배 모델에서는 지배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긍정적이고 유의미했지만, 총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그림 1 참조).

- 가설 4와 5에 따르면, 통제와 지배의 인식이 낮을수록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긍정적 정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정서 변화는 감정 표현 억제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두 모델 모두에서 통제와 지배가 감정 표현 억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감정 표현 억제는 데이트 폭력의 높은 수준과 관련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적 정서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음.

-연령 그룹 모델의 결과도 유사했으나, 청소년 그룹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 그리고 감정 표현 억제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지배 모델에서는 지배와 데이트 폭력 간의 직접 및 총 효과가 청소년 그룹에서 유의미했으며,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또한, 지배와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 감정 표현 억제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는 청소년 그룹에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 유의미했습니다. 나머지 변수들은 지배 모델에서 전체 모델과 유사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

- 가설 6을 검증한 결과, 통제와 지배가 부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를 통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통제 모델에서만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를 통한 데이트 폭력에 대한 유의미한 간접 효과가 관찰되었음.

결론적으로, 청소년 그룹에서는 통제가 부정적 정서를 통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가 유의미했지만, 젊은 성인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통제와 지배 모델 모두에서 통제와 지배가 부정적 및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를 통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유의미한 간접적 효과가 발견되었습니다.



논의 discussion

청소년과 젊은 성인 남성 사이의 데이트 폭력은 매우 만연한 문제로, 그로 인한 피해는 평생에 걸쳐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애 관계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권력(지배 및 통제 욕구)과 감정 조절 등의 요인 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연구는 청소년 및 젊은 이성애 남성들이 연애 관계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권력, 정서, 감정 표현 억제 간의 관계 모델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며,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중요한 공백을 채우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결과는 데이트 폭력의 사용을 악화시킬 수 있는 변수들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제로 톨러런스” 접근법을 사용한 결과, 남성 참가자의 약 70%가 데이트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결과는 청소년보다 젊은 성인 사이에서, 특히 심리적 성격의 데이트 폭력 사용이 더 빈번하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메타 분석 결과, 13세에서 18세 사이의 남성들이 가한 성적 폭력 비율은 본 연구에서 발견된 비율과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10% vs. 10.6%).

하지만 신체적 폭력은 더 낮은 비율로 나타났습니다(13% vs. 5.7%)(Wincentak et al., 2017). 다른 유럽의 고소득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Tomaszewska and Schuster, 2021), 본 연구에서 성적(10.6%) 및 신체적(5.7%) 폭력의 유병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에 속합니다(성적: 2.6%–37%, 신체적: 4.8%–34.9%). 하지만 심리적 폭력 비율(68.6%)은 다른 나라들에서 발견된 비율(19.9%–42.7%)보다 높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폭력이 모든 국가에서 가장 흔한 폭력 유형이라는 점은 일관됩니다. 이는 중요한 사실인데, 장기 연구에서 심리적 폭력이 현재 및 미래의 신체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좋은 지표라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O’Leary & Smith Selp, 2003). 또한 신체적 폭력은 심리적 폭력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안토니오 & 호코다, 2009). 이는 다양한 폭력 행동 유형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시켜줍니다.

경제적, 문화적 측면 외에도 데이트 폭력의 유병률은 다양한 요인들에 민감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에는 a) 사용된 정의, b) 참가자 선정, c) 데이터 소스 및 수집 도구, d) 변수의 조작화 방식, e) 평가 기간, f) 통계 처리 방법, g) 사회적 기대 편향 및 민감한 정보를 공개하려는 참가자의 의지 등이 포함됩니다(Krug et al., 2002).

이 연구에서는 “제로 톨러런스” 접근법을 사용하여, 첫째로, 폭력 비율을 이전 연구와 비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Ibabe et al., 2016; Reidy et al., 2015). 둘째로, 데이트 폭력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Niolon et al., 2019). 따라서 연애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준의 폭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연애 관계 내에서의 폭력은 나이가 들면서 빈도와 심각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낮은 수준의 심리적 폭력에서 시작됩니다(Orpinas et al., 2013; Saint-Eloi Cadely et al., 2020). 마찬가지로 폭력이 증가하면 파트너의 학대를 받아들이는 정도도 증가하는데, 이는 지속적인 공격에 대한 순응이 폭력을 정상화하기 때문입니다(Grest et al., 2020). 셋째로, 척도 항목의 내용 분석은 “제로 톨러런스” 적용을 뒷받침하는데, 포함된 모든 행동이 명백한 공격 행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로 톨러런스”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데이트 폭력이 용납될 수 없다는 명확한 메시지를 사회에 전달합니다(Maquibar et al., 2017). 특히 일부 젊은 사람들은 성차별적 이상이나 폭력에 대한 높은 관용 때문에 폭력을 정당화하거나 오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용은 또한 친밀한 관계 내에서 폭력을 인식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García-Díaz et al., 2020).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이 분류 방식은 폭력 경험의 다양한 수준이나 유형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폭력 경험을 가진 사람들, 즉 남성우월주의나 마이크로 성차별에서부터 단발적인 공격(단일 항목) 및 지속적인 공격적 역동성을 가진 사람들을 같은 가해자 그룹에 포함시킵니다.

권력(통제와 지배)이 젊은 이성애 남성들의 데이트 폭력 사용을 예측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많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하며, 네 가지 관련 문제를 다룹니다.
1. 가설 1에서 언급했듯이, 젊은 남성들이 청소년들보다 더 높은 비율로 데이트 폭력을 사용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결과는 나이에 따라 여성에 대한 폭력 사용이 증가한다는 이전 연구와 일치합니다(Gracia et al., 2023). 또한, 젊은 남성들이 통제를 낮게 인식(비록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하고 지배 욕구가 있음을 보여주며, 데이트 폭력 사용은 여성 파트너에 대한 권력을 얻으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Toplu-Demirtaş & Fincham, 2022). 젊은 남성들은 청소년들보다 긍정적, 부정적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감정 표현 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젊은 남성들이 긍정적 감정의 영향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발전시켰을 가능성이 있지만, 동시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 부정적 감정도 더 많이 경험하기 때문에 청소년들보다 감정 표현 억제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Coiro, Bettis & Compas, 2017).

2. 통제를 낮게 인식하는 것이 청소년과 젊은 성인 두 그룹 모두에서 더 많은 데이트 폭력 사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습니다(가설 2). 권력 구성의 지배 차원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는 젊은 성인 표본에서 동일하지만, 청소년의 경우 이 연관성은 긍정적입니다. 청소년과 젊은 성인 모두에서 통제가 폭력적 행동 사용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이전 메타 분석에서 보고된 바와 일치합니다(Spencer et al., 2021). 이 메타 분석에서는 남성들이 파트너를 통제하려는 행동이 신체적 폭력의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발견했습니다. 이 결과는 또한 남성성 역할 스트레스 이론과도 일치합니다. 이 이론은 남성성을 불안정한 지위로 간주하며, 그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드러내야 하는 것으로 봅니다. 이 이론은 남성들이 남성 역할의 요구(예: 연애 관계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것)를 충족하지 못하고 남성적 정체성이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파트너에게 폭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하며, 이 공격성을 긍정적이고 정당한 것으로 인식합니다. 왜냐하면 이는 남성들이 자신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Vandello & Bosson, 2013). 청소년과 젊은 남성들은 자신의 남성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트너를 통제하려고 할 수 있으며(Bosson & Vandello, 2011), 스트레스와 불안감, 개인적 약함에 대한 감정을 완화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Gallagher & Parrott, 2011). 특정한 문제적인 남성 행동(예: 공격성)은 관계 내에서 편향된 사고와 과장된 두려움으로 인해 강화될 수 있습니다(Bosson et al., 2006).

하지만 젊은 남성들의 경우, 관계에서의 통제 요소와 데이트 폭력 사용 간의 관계의 강도는 지배보다 더 큽니다. 이 결과는 관계 내에서 통제 부족이 더 폭력 사용과 가까운 변수로, 공격성과 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Stark, 2010). 따라서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은 파트너를 지배하려는 욕구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통제 능력에 대한 인식된 위협에 대한 반응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 폭력은 가해자가 관계에서 더 많은 통제를 얻거나, 여성 파트너의 특정 행동을 방지하거나 유도하기 위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Toplu-Demirtaş & Fincham, 2022). 한 메타 분석에서는 지배가 남성 가해자의 폭력과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했지만, 이 연관성은 통제와 폭력 사이에서 발견된 연관성보다 중간 정도로 약했습니다(Ubillos Landa et al., 2020). 연구에서는 종종 지배를 남성 폭력을 조장하는 문화적 가치와 신념에 의해 남성에게 부여된 권력으로 간주합니다(Moyano & Sierra, 2016). 지배는 고정적이고 시대를 초월한 구조를 포함하므로(구조적 차원), 그 영향은 더 간접적이고 분산될 수 있습니다(Johnson & Ferraro, 2000).

청소년 그룹에서는 통제와 데이트 폭력 간의 연관성이 더 약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예상과 달리, 지배는 데이트 폭력의 빈도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었습니다. 이는 남성이 여성에 대한 데이트 폭력의 주요 예측 변수 중 하나가 지배의 정당화와 갈등 해결을 위한 공격성 사용이라는 사실을 발견한 연구와 일치합니다(Díaz-Aguado & Martínez, 2015).
청소년기에 친밀한 관계를 관리하는 경험이 부족하면, 성인 초기에 중요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Giordano et al., 2006). 이 점에서 청소년들은 초기에는 다른 사회화 맥락에서 학습한 남성 지배에 대한 문화적 신념에 더 많이 의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배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경험이 쌓이면서 젊은 남성들은 관계에서 더 많은 권력을 가진다고 보고하지 않지만, 오히려 파트너를 더 통제하려고 시도하여 그들에 대한 더 큰 영향을 미치려 합니다. 따라서 그들이 더 많은 관계 경험을 얻으면서 통제의 개념은 각 파트너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변화를 시도하는 것을 반영하는 보다 활동적이고 근거 있는 성질을 띠게 됩니다.

셋째, 가설 4와 5에 따라, 이 연구는 청소년 및 젊은 성인 표본에서 통제력이 약할수록 부정적 정서가 높고 긍정적 정서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지배 모델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젊은 성인 표본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전 연구와 일치하게, 부정적 정서만이 데이트 폭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이전 메타 분석에서는 부정적 정서와 데이트 폭력 가해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으며(Birkley & Eckhardt, 2015), 또 다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분노)가 수치심과 데이트 폭력 사이의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Harper et al., 2005). 따라서 데이트 폭력은 낮은 긍정적 정서보다는 높은 부정적 정서(분노, 슬픔, 두려움, 질투 등)와 더 많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낮은 긍정적 정서와 높은 부정적 정서는 더 많은 감정 표현 억제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다시 높은 데이트 폭력 수준과 연결되었습니다. 청소년 표본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개인이 감정을 억제하는 데 능숙하더라도, 감정의 생리적 및 경험적 요소를 제거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Quartana & Burns, 2007). 실험 연구에서는 제한된 힘 모델에 따라(Muraven et al., 1998), 특히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는 데 많은 노력과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는 자제력 자원을 고갈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Hagger et al., 2010). 감정 표현 억제는 부정적 정서를 과장시키고, 공격성에 대한 억제를 낮추며, 의사결정 과정을 손상시키고, 사회적 관계망을 감소시키며, 신체적 흥분을 증가시키고, 어려운 상황 해결을 방해하여 공격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Roberton et al., 2012).

넷째, 가설 6에 따라, 순차 매개 분석 결과, 젊은 성인 그룹에서만 부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가 권력(통제와 지배)과 데이트 폭력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긍정적 정서와 감정 표현 억제도 통제와 지배, 그리고 폭력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했습니다. 다시 말해, 높은 부정적 정서와 낮은 긍정적 정서, 그리고 이러한 감정들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이 데이트 폭력을 촉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Cuccì et al., 2019). 이러한 결과는 감정에 관한 모델(Gross, 2015)과도 일치하며, 이 모델은 감정이 세상에 대한 인식(낮은 권력 인식)과 세상에 대한 바람직한 상태(남성 권력과 패권)에 대한 비교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 반응을 유발합니다. 실제로, 감정 조절과 폭력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된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예: 분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남성의 폭력을 예측한다고 제시합니다(Norlander & Eckhardt, 2005; Stith et al., 2004). 이러한 결과는 남성 공격성의 피라미드 모델과도 일치하는데, 이 모델에서는 갈등이 발생할 때는 반드시 가부장적 기반(불평등한 사회 조직이 지배 욕구를 정당화함)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Bosch-Fiol & Ferrer-Pérez, 2019). 이러한 개인의 통제에 대한 기대와 사건에 대한 편향된 인식(예: 남성성을 의심받고 있다고 느끼거나 관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갈등 중에 남성들이 파트너에게 폭력적으로 행동하게 만듭니다. 또한, 이 피라미드 모델에서 감정 지능과 감정 조절은 공격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시 말해, 가해자와 비가해자는 모두 전통적인 남성성에 따라 사회화되었고 피라미드의 다른 모든 단계를 공유하지만, 비가해자는 폭력을 거부하고 더 적응적인 감정 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반면, 가해자는 감정 억제를 과도하게 사용합니다. 청소년 표본에서는 제시된 모델이 기대한 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오직 부정적 정서만이 낮은 통제 인식과 데이트 폭력 사용 간의 관계를 설명했습니다.

결과는, 젊은 성인 그룹에서만 낮은 권력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적 고통을 조절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부메랑 효과).

 

다시 말해, 감정 표현 억제를 사용하여 파트너에 대한 폭력을 줄이려는 시도가 오히려 폭력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비록 청소년 그룹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결과 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 아마도 젊은 성인들이 더 많은 관계 경험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관계 모델이 공고해졌을 수 있습니다.


#연구의 시사점

 

- 본 연구의 강점 중 하나는 청소년 및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데이트 폭력 문제를 진단하고,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관련 요인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입니다.

> 이 연구는 청소년과 젊은 성인을 구분하여 데이트 폭력 가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개입 노력을 안내하는 데 기여

 

[청소년에 대한 개입]

- 특히 청소년기부터 1차 예방을 강화하여, 성인기 이후의 연애 관계에서 폭력 발생률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Taylor et al., 2013). 예방은 청소년기 초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젊은 남성과 성인 남성들이 문제를 인식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인정하여 개입에 대한 저항이 높기 때문입니다(Boira et al., 2014).

또한, 청소년들이 습득한 공격적인 상호작용 패턴이 성인이 되어 유지된다면, 훨씬 더 심각한 폭력 행동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González-Ortega et al., 2008). 이러한 해체는 새로운 남성성에 대한 반영을 중심으로 한 개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가부장제가 제공하는 모델과는 다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Sims & Rodríguez-Corcho, 2022).

 

[성인에 대한 개입]

- 한편, 일차 예방뿐만 아니라 이차 및 삼차 예방에서는 ‘통제의 필요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젊은 성인들에게서 왜곡된 인식을 인지 재구조화하고 폭력을 사용하여 잃어버린 통제를 회복하려는 시도를 정당화하지 않는 교육이 필요합니다(Rizzo et al., 2018).

- 마찬가지로 모든 예방 수준에서는 감정 표현 억제와 같은 부적응적인 감정 조절 전략의 사용에 대한 교육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처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더 기능적인 대처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고갈시킵니다.

- 따라서 특히 젊은 남성들에게는 더 적응적인 대처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여 폭력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연구 결과와 실질적인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횡단적 설계로 인해 인과 관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또한 표본이 크긴 했지만, 표집 기법이 무작위가 아니었기 때문에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하며, 다른 인구 집단에 일반화할 수 없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문화적 차이가 관찰되었으나(Connolly et al., 2010), 이번 연구는 스페인 청소년과 젊은 남성으로만 구성된 표본을 사용하여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관성 모델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흥미로울 것입니다. 또 다른 한계는 표본이 이성애 데이트 커플로만 구성되었다는 점입니다. 앞으로 연구자들은 동성애 데이트 커플도 포함하여 성적 지향에 따른 폭력적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 젊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사회화 환경 중 하나인 디지털 세계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폭력(즉,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발생하는 폭력)도 포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기존 문헌에서는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충동적인 성격 특성, 여성에 대한 적대감, 부정적 귀인 및 다른 감정 조절 전략과 같은 개인적 변수가 통제, 지배, 데이트 폭력 가해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Landa, S. U., González, S. N., Martínez, A. P., Leiva, M. G., & Castro, J. L. G. (2024). The Boomera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Power, Affectivity and Adolescent and Youth Male-To-Female Dating Viol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53(1), 36-5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