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임상심리를 사랑하는 아리입니다.
오늘은 HTP검사의 발달, 장단점과
다른 대상이 아닌 왜 하필 집, 나무, 사람을 그리도록 하는지의 이유, 각 그림을 해석하고 나서 검사 결과를 하나로 통합할때 고려할 점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바로 살펴볼까요? :)
1. HTP 검사의 발달
- 1929년. Goodenough, 그림을 통해 아동 지능발달 평가.
- 1948년. Buck, HTP 검사 개발.
- 1949년. Machover, 투사적 성격검사로 발전(DAP).
- 1951년. Hulse, Draw-A-Family 검사 개발.
2. HTP 검사의 장단점
1) 장점
- 실시하기 간편하며 비교적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다
> 아주 어려운 이론이나 설명체계를 배우지 않아도 해석할 수 있다는 의미임
- 비언어적인 실시
>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 언어능력(부수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다는 점에서 장점이 될 수 있다. /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언어적 개입이 필요없음.
2) 단점
-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
.> 신뢰도: 검사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
> 타당도: 검사하고자 하는 것을 검사하고자 하는지 알 수 없음.
3. 왜 하필 집, 나무, 사람 그림일까?
• ‘집-나무-사람’ 선택의 이유
- 모두에게 친밀한 소재임.
- 사람들이 다른 소재 보다 더 쉽게 받아들임
- 솔직하고 자유로운 언어화를 자극함.
> 무의식적인 의미에서 상징적으로 풍요로울 수 있음.
+) 투사적 기법의 논리
> 비구조화, 모호한 자극을 제시하면, 그 자극에 대한 의미는 피 검자 내면의 무의식에서부터 나올것임.
4. 검사결과의 통합
1) 집, 나무, 사람 그림의 요소들간 일관성
- 집 : 지붕 = 사람 : 머리
- 짙게 칠해진 지붕 vs 강조된 머리카락
- 부수물들이 있다면 여러 그림에서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 애정 욕구를 살펴볼 수 있음.
2)임상가의 인상
- 피검자의 연상(설명)과 그림이 주는 느낌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기
3) 내담자의 주호소 문제와의 연결
- 해석의 내용을 내담자의 주호소 문제와 연결지어 해석하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평가] 지능이란? / 지능의 구조 (0) | 2023.04.21 |
---|---|
[심리평가] TCI의 이해와 해석 中 성격편 (2) | 2023.01.28 |
HTP검사 - 사람(Person) 해석 (0) | 2023.01.14 |
HTP검사 - 나무(Tree) 해석 (0) | 2023.01.07 |
HTP검사 - 집(House) 해석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