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심리학

[정서발달] 정서 발달 :: 감정과 정서 / 기질 / 애착의 발달단계 / 내적 작동모델

by here, happy 2025. 2.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정서발달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려고 찾아왔습니다 :)

 

 

 

-감정(emotion): 주어진 상황에 부여한 개인적 의미에 대한 신속한 판단

-정서적 반응은 경험을 반복하고자 하는 바람에 영향을 미침

-정서와 인지는 양방향적, 역동적 상호작용을 보임

↳ 정서는 지속적 참여와 학습에 활력을 불어넣는 힘이 되며 숙달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공동주의(joint attention): 타인과 함께 외부 대상에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

-사회적 참조(social reference): 영유아가 상황에 대한 타인의 해석을 이용하여 자신의 해석을 구성하는 행동

 

-정서는 자기 의식의 출현에 기여

↳ 새로운 물체에 대해 아기가 나타내는 관심과 흥분은 자기효능감(주변의 사건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도움

↳ 2세 중반 아동의 자의식이 충분히 발달하게 되면 자신감과 당혹감을 경험하게 됨

 

-기본정서(basic emotion): 인간과 영장류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7가지 정서

↳ 기쁨 / 흥미 / 놀람 / 공포 / 분노 / 슬픔 / 혐오

-역동적 체계의 관점(dynamic systems perspective)

: 발달이 아동의 내적·외적 요인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

↳ 정서표현은 개인의 발달적 역량, 목적, 맥락에 따라 달라짐

↳ 중추신경계가 발달하고 아동의 목표와 경험이 변화해감에 따라 아동은 더 효과적으로 정서표현을 하게 됨

 

-사회적 미소(social smile): 어떤 특정 목적을 가지고 웃는 것이 아니라 반사적으로 웃는 것

 

- 자의식적 정서(self-conscious emotions)

Ex. 수치심, 당황, 죄책감, 질투심, 자부심 등을 포함한 이차적 감정(높은 수준의 감정)

↳  2세 중반에 나타남. 18~24개월 된 영아는 자아를 확실히 분리된 유일한 개체로 인식

↳  3세경에 질투심 느낌

↳ 자의식적 정서를 격려하는 상황은 문화마다 다름

↳ 자아개념이 발달함에 따라 아동은 점차 부모, 교사 등 그들에게 중요한 성인이 제공하는 칭찬과 비난이나 피드백의 가능성에 민감해짐

 

- 우월성, 좋은 행동에 대한 내적기준, 개인적 책임감 등을 발달시켜 나감에 따라 자의식적 정서를 경험하는 상황이 변화함

Ex. 학령 전과 달리 학령기 아동은 성인 없이도 새로운 성취에 자신감을 느끼고 위반에 대해 죄책감을 경험


# 정서적 자기조절(emotional self- regulation)

: 우리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편안한 수준의 강도로 자신의 정서적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

 

- 의도적 통제(effortful control)

: 자발적이고 의도적인 정서관리

↳ 기질의 주요한 한 차원

 

- 신생아기(정서 조절에 제한된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내적·외적 자극에 쉽게 압도됨)

- 첫돌 무렵 기거나 걷는 것은 영아가 다양한 상황에 접근하거나 회피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감정을 조절하도록 도움

 

- 정서적 단어를 읽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부모의 자녀는 덜 까다롭고 덜 두려워하며, 즐거운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하고 탐색을 즐거워하며 쉽게 달랠수 있는 성향을 지님

-반대로 참을성 없거나 화를 내며 반응하거나 영아가 매우 심하게 흥분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개입하는 부모들은 영아의 강한 고통이 갑작스럽게 상승하게 만듦

 

-아동기와 청소년기

↳ 6~8세경 정서를 느끼고 이를 표현할 때 발생하는 차이를 인식하게 됨에 따라 아동은 점차 타인과 의사소통을 위한 정서표현을 완벽하게 습득하게 됨

혼자일 때 아동은 혼잣말로 내면화하는 것처럼 내적으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정서표현을 생략하게 됨(자기와의 정서적 의사소통이라는 정신적 수준mental level의 출현)

 

-10세가 되면 대부분의 아동은 정서를 다루는 두 가지 일반적인 전략을 적응적으로 활용함

① 문제 중심적 대처

: 주어진 상황을 변화 가능한 것으로 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

② 정서 중심적 대처

: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을 때 고통을 통제하는 데 목표를 두는 것

 

- 정서표출양식(emotional disply rules)

:특정 사회나 문화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과 규범

 

-사회적 참조의 두가지 기능

① 불확실한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타인의 정서적반응에 의존

② 타인의 의도와 선호성에 대한 정보를 얻음

ex. 타인을 관찰하여 타인이 좋아하는 음식을 주는 아동

 

-정서적 조망수용(affective perspective-taking)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

 


# 기질과 발달

-기질(temperament)

:초기에 나타난 반응성과 자기조절의 개인차

:성격의 개인차에 대한 유전적 기초

↳ 반응성(reactivity): 정서적 각성, 주의, 운동반응에 있어 민감성과 강도

↳ 자기조절(self-regulration): 그러한 반응을 조절하는 전략

 

-기질의 구조

① 순한 기질(40%)

 :신생아기에 규칙적인 일과를 보내며, 대체로 기분이 좋으며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

② 까다로운 기질(10%)

 :불규칙한 하루 일과를 보내며, 새로운 경험의 수용이 느리게 이루어지며, 부정적이고 강렬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임

③ 느린 기질(15%)

 :비활동적이며, 온순하고 환경적 자극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반응을 보이며, 부정적인 기분을 가지고 새로운 경험에 서서히 순응함

 

* 35% 아동은 이러한 유형 중 어떤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함. 대신 이들은 혼합된 기질의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

 

-신생아나 걸음마기 영아의 경우 기질의 전반적 안정성이 낮으며, 유아기부터 보통 수준을 유지함

↳ 기질이 안정적이지 않은 이유: 기질 자체가 연령에 따라 발달하기 때문임

↳ 아동의 반응양식이 보다 잘 형성되는 3세 이후부터 초기 기질의 장기적 예측이 최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를 이러한 불일치를 통해 알 수 있음

 

- 애착의 발달단계(4단계)

애착 전 단계(출생~6주)

:아직 엄마와 애착을 형성하지 않음. 엄마의 냄새, 목소리, 얼굴을 인식

 

애착 형성 단계(6주에서 6~8개월)

:친숙한 양육자에게 낯선 사람과는 다르게 반응

 

명백한 애착 단계(6~8개월에서 18~2세)

:친숙한 양육자에 대한 애착이 명확해짐/ 분리불안(대상영속성을 습득한 이후부터)/ 탐색을 위한 안전기지로 양육자를 이용함

 

상호 호혜적 관계 형성(18개월~2세이후)

:분리불안 감소, 표상과 언어의 급격한 발달, 내적 작동 모델의 형성

아이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상황을 만들기 위해 양육자를 설득하고 협상하려 함

 

- 내적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

: 자신과 타인에 대해 가지는 정신적 표상

애착 대상의 유효성에 대한 기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지지할 수 있는 가능성, 대상과 자신과의 상호작용 등의 총체

↳ 미래의 모든 가까운 관계에 대한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성격의 핵심 부분이 됨

- 애착 안정성의 측정

1~2세의 애착의 질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실험실 방법은 낯선상황(strange situation)실험임

 

안정애착(secure attachment)

↳부모를 안전기지로 사용, 재결합시에 활발히 안기려고 하고 울음이 즉시 감소됨

 

회피애착(avoidant attachment)

↳ 부모와 있을 때 부모에게 별 반응을 보이지 않음 / 부모와 재결합하면 거부하거나 서서히 반김 + 안아주어도 대부분 매달리지 않음

 

저항애착(resistant attachment)

↳분리에 앞서 부모와 가까이 있으려 하고, 주변을 탐색하려 하지 않음 / 부모가 나가면 괴로워하고 재결합시 화를 내거나 저항행동으로 매달림 / 안아주어도 계속 울거나 매달리며 쉽게 달래지지 않음

 

혼란애착(disorganized/distorted attachment)

↳ 가장 큰 불안정 애착 / 재결합시 모순되는 행동 / 대부분 멍한 표정

ex. 부모가 안으면 얼굴을 돌리고 무표정하거나 우울한 정서를 나타내면서도 엄마에게 접근

 

-애착 Q-Sort(attachment Q-Sort)

↳1~4세 아이들에게 적합한 대안적 방법 / 가정에서의 관찰에 의존 / 부모나 잘 훈련된 평가자가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90가지의 문항에 응답

 

- 정서발달과 애착

↳ 시설에 오래 있다가 입양된 아동의 편도(정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뇌영역)의 부피가 비전형적으로 크게 나타남

↳ 편도가 클수록 입양 아동은 정서처리 과제의 수행이나 정서조절을 적절히 하지 못함

 

 

Q1. 영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분노 반응도 증가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A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 및 운동능력이 발달하여 의도적인 행동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영아는 자신이 원하는 상황이 아닐 때 분노를 경험하며 이를 바꾸려 하게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Q2. 아동이 정서를 다루는 두가지 일반적인 전략에 대해 설명하시오.

A2. 아동이 정서를 다루는 두가지 일반적인 전략에는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가 있다. 먼저 문제 중심적 대처는 문제의 해결이 가능할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 지 결정하는 것이고 정서중심적 대처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없을 때 고통을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정서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