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이란?
: 유전적 결정요인 뿐만 아니라, 초기 교육적 환경, 후기 교육과 직업경험, 현재의 정서 상태 및 기질적 및 기능적 정신장애, 검사 당시의 상황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전체적이며 잠재적인 적응 능력.
#지능의 구조
1. Spearman의 2요인설
- 일반요인(g요인): 모든 개인이 갖고 있는 보편 능력
- 특수요인(s요인): 특정 분야에 대한 능력 (ex. 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기계적 능력 등)
2. Thurstone의 다요인설
-7가지 기본적인 정신능력(Primary Mental Ability ;PMA) 을 제안.
> PMA: 언어, 단어 유창성, 수 능력, 기억력, 공간 능력, 지각 속도, 추론능력
3. Guilford의 지능 구조 입체 모형설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 SI Model)
-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능력들의 총체
- 지능은 정보의 내용(5가지), 조작(5가지), 결과(6가지)의 3개 차원으로 나뉨.
4. CHC 이론의 발달
- Cattell의 유동성 지능과 결정화 지능
1) 유동성 지능: 유전적,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 / 뇌와 중추신경계의 성숙에 비례하여 발달하고 쇠퇴하는 특성
> 속도, 기계적암기, 일반 추론 능력
> 인간의 감각, 운동 발달과 관련
2) 결정화 지능: 유동지능을 바탕으로 환경, 경험, 문화적 영향을 받아 후천적으로 계발되는 지적능력
- Catell &Horn의 Gf-Gc이론
> Horn에 의해 지속적으로 체계화 됨
> 공간지능, 청각 지능, 단기기기억, 장기기억, 양적지능 등을 제시.
- Caroll 이 요인분석을 통해 지능을 위계적 구조로 개념화
> 1수준(협소적 능력) - 2 수준(광범위적 능력) - 3수준(일반 능력)
>>> CHC (Catell, Horn, Caroll) 이론
: 상위 개념인 g요인을 인정하고, 광범위한 인지능력을 추가 통합.
5.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정신 능력은 한가지로 포괄할 수 없음으로 언어지능, 공간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신체 운동 지능 등과 같이 독립적인 지능이 존재하며 이것이 상호작용함.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발달] 정서 발달 :: 감정과 정서 / 기질 / 애착의 발달단계 / 내적 작동모델 (0) | 2025.02.12 |
---|---|
[인지발달] 정보처리의 발달이론: Case의 신 피아제 관점 / Siegler의 전략 선택 모형 (0) | 2025.01.15 |
[인지심리] 퍼지 흔적 이론(fuzzy-trace theory) (0) | 2025.01.14 |
영아기와 아동기의 젠더발달 :: 트렌스젠더 아동 / 성 유형화 (0) | 2024.02.13 |
[발달] 피아제 Piaget 인지발달단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 구체적 조작기 > 형식적 조작기 (3) | 2024.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