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인식
- 2세경, 물리적으로 유일한 존재로서의 자기에 대한 구분인 자기인식(self-recognition)이 가능해짐
- 걸음마기 영아는 크기오류(scale errors)를 보임 (자신의 신체 부위에 대한 객관적 이해가 부족)
ex. 인형 옷을 입으려 하거나 인형 크기에 앉으려고 하는 것
- 자기인식은 자신이 외적 실제와 분리되어 있음을 느끼는 것과 관련됨
- 걸음마기 영아는 점차 타인의 의도, 감정, 욕구를 인식하기 시작
-2세 유아의 자기인지는 소유권에 대한 감각을 갖게 해줌 ”내 거야!“
#범주화된 자기, 기억 속 자기, 지속적인 자기
- 범주화된 자기(categorical self)
>언어는 아동이 객관적 자기를 명확하게 표상하고 표현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자기 인식을 급속하게 증진시켜줌
ex. 연령(아기, 어린이), 성별(소년, 소녀), 신체적 특징(크다, 강하다)
- 기억된 자기(remembered self)
> 내러티브는 양육자가 아이의 자아인식에 문화적 가치를 불어넣는 주요한 수단임
- 지속적인 자기(enduring self)
: 일정 시간 지속되는 자기에 대한 관점
> 개인적으로 의미있는 사건에 대해 말할 수 있게 되고 인지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유아는 점차 지속적인 자기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키게 됨
반응형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발달] 정서 발달 :: 감정과 정서 / 기질 / 애착의 발달단계 / 내적 작동모델 (0) | 2025.02.12 |
---|---|
[지능발달] 지능이란? /지능 관련 이론 :: 2요인 이론/ 다요인설/ Cattell의 유동성이론, 결정적이론 / CHC이론 (2) | 2025.02.10 |
[인지발달] 정보처리의 발달이론: Case의 신 피아제 관점 / Siegler의 전략 선택 모형 (0) | 2025.01.15 |
[인지심리] 퍼지 흔적 이론(fuzzy-trace theory) (0) | 2025.01.14 |
영아기와 아동기의 젠더발달 :: 트렌스젠더 아동 / 성 유형화 (0) | 2024.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