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화 (mentalizing / mentalization) by. Fonagy (포나기)
- 마음을 갖는다는 것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좌우한다는 것에 대해 우리가 깨닫는 과정
- 생각, 감정, 소망,욕구를 기초로 자신과 타인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정신 상태를 이해하는 능력
- 자신과 다른 사람의 마음을 적절히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
- 관찰된 행동 뿐만 아니라 행동 이면의 마음을 헤아리고 추정하는 과정
- 행동을 이해, 의미 부여하고 통찰 및 공감하는 능력과 밀접히 관련
- 대인관계 세계와 원활히 상호작용하는데 핵심 역할
#정신화의 역할
1.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한다. 즉, 사고와 감정의 귀인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을 의미 있게 볼 수 있게 함.
2. 타인과의 관계에서 안정적인 애착을 촉진하고 유지함.
3. 사건의 외관과 실제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즉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내면의 동기를 구별하는 것을 도움.
4. 타인의 심리상태를 인지하게 하여 소통을 증진시킴.
5. 타인의 내부세계 및 외부세계를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게 함.
#정신화의 과정
1. 자신과 타인의 주관적인 상태와 정신화 과정을 이해
2. 상대방의 마음을 추측
3.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반응 선택
4.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날 것인지 결정
#정신화 능력이 부족하면?
- 타인의 기쁨이나 고통을 인식하지 못함
- 사화적 상호작용의 갈등 유발
- 집단 내 갈등, 폭력, 이기주의 등의 원인
#정신화 능력의 발달 => 사회적 피드백을 통해 이루어짐
- 티가 나는 반영 (marked mirroring)
> 영유아는 자신의 정서 상태가 반영된 양육자의 얼굴을 보고 목소리에 반영된 것을 들음.
> 그 결과 자신이 내적으로 느끼는 것에 더 예리한 지각이 발달함.
> 양육자가 자신이 느끼는 것이 아닌 아이가 느끼는 것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아이는 자기가 무엇을 느끼는지 알게됨.
> 타인이 제공하는 정신화를 받아보는 경험을 통해 정신화를 학습
> 정신화가 이뤄지는 상호작용을 통해 고통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움.
>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해 줌.
- BUT, 적절한 사회적 피드백이 없다면?
> 아이의 입장에서 부모의 마음을 알게 되는 것이 고통스러움
> 따라서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잘 다루지 못하고 정신화 능력을 발달시키지 못하게 됨.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개념화] 사례개념화 :: 필요성/ 방법 / 고려사항 / 준비과정 (0) | 2024.10.23 |
---|---|
[아동상담] 대상관계이론 Object Rlelation Theory :: 대상/ 대상관계/ 자폐기/ 공생기/ 분리-개별화/ 대상항상성의 발달 (1) | 2023.11.23 |
[품행장애 아동] Patterson의 강압이론 (coercion theory) (0) | 2023.08.08 |
[아동상담] 아동상담의 특징, 아동상담에서 다루는 문제들, 부모상담, 아동상담실의 구성 (0) | 2023.05.11 |
[아동상담] 아동상담에서의 부모 상담 / 부모 면담 / 부모 교육 (초기 - 중기 - 후기) (0) | 2023.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