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아동상담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이론 중 하나인 대상관계이론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상관계 이론에서 말하는 '대상'은 무엇일까요?
# 대상(object)
: 주체와 관계를 맺는 어떤 것
> 사랑이나 미움을 받는 사람, 장소, 사물, 환상, 기억 등
> 실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의 마음 속에 있는 2차원적인 환상 대상/사람을 의미 ★
① 외적대상 (external objects): 정서적 에너지가 투여된 사람, 장소, 사물
② 내적대상 (internal objects): 어떤 정신적 표상으로 어떤 이미지나 개념, 감정 혹은 다른 사람과의 관련된 기억
#대상관계
: 주체인 개인이 특정한 양식으로 대상과 맺는 관계
> 현재의 대인관계 경험은 무의식적인 내적 대상관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분리 개별화 과정 (Separation and Individuation)
1. 자폐기 (~2개월)
- 자기와 대상에 대한 인식이 없이 신체 감각만 인식하는 시기
- 기본적으로 자기와 대상이 미분화된 상태
- 거의 대부분의 시간이 수면 상태임.
2. 공생기 (2~6개월)
-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대상에 대한 희미한 인식을 발전시킴
- 어머니와 자신을 마치 하나인 것처럼 인식
- 공생적 융합단계를 통해 아이는 만족스러운 대상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자기신뢰와 자기존중감 형성에 도움을 줌
- 이 시기에 좋은 관계를 갖지 못한다면, 유아의 자아기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3. 분리-개별화 (6~24개월)
> 부화 - 연습기 -재접근기의 세 단계로 구분됨.
3 - ① 부화 (6~10개월) (=분화기)
- 근골격계, 신경계 성숙, 기동성 증가
- 엄마로부터의 신체적 분리를 시도
- 부모(주 양육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도 관심이 확장
- 중간대상(transitional object): 유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의미를 부여하며 강력한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ex. 애착인형, 애착 담요
3 - ② 연습기 (10~16개월)
- 새로운 기술을 익히려는 듯 반복해서 실행하고 즐김
- 서기와 보행이 가능해짐: 자기 능력에 도취, 자기애가 최고조에 이름
- 세상에 대한 탐험을 즐김
> 이때 아동의 애착대상은 안전기지(home base)와 정서적 재충전(emotional refueling)의 기능을 하게 됨
3 - ③ 재접근기 (16~24개월)
- 운동기술과 함께 인지능력이 발달
- 독립-의존 욕구를 함께 느낌
> 그림자처럼 따라다니기 & 피하는 행동의 반복
> 도움을 유도하고는 자발적인 도움을 거부
- 분열(splitting)
> 재접근기에 흔히 나타나는 유아의 정서적 동요
> 어머니나 다른 대상의 특정 순간의 행동으로 그 대상이 전적으로 좋거나 (all good), 전적으로 나쁜 (all bad)사람으로 경험
> 특정 순간 자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달려있음
4. 대상항상성의 발달 (24~36개월+)
- 이 단계는 평생 동안 지속됨
- 대상항상성(object constancy): 대상, 특히 어머니의 물리적 현존여부 또는 욕구충족여부와 상관없이 어머니에 대한 일관된 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cf. 대상영속성: 일정한 시간 후에 숨겨진 사물을 찾아 나서는 능력)
- 개별성(individuation): 다양한 상황과 기분상태에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더욱더 안정된 감각을 수반하는 것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개념화] 사례개념화 :: 필요성/ 방법 / 고려사항 / 준비과정 (0) | 2024.10.23 |
---|---|
[품행장애 아동] Patterson의 강압이론 (coercion theory) (0) | 2023.08.08 |
[아동상담] 아동상담의 특징, 아동상담에서 다루는 문제들, 부모상담, 아동상담실의 구성 (0) | 2023.05.11 |
[아동상담] Fonagy의 정신화 mentalizing / mentalization (0) | 2023.05.01 |
[아동상담] 아동상담에서의 부모 상담 / 부모 면담 / 부모 교육 (초기 - 중기 - 후기) (0) | 2023.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