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심리학

말보다 더 많은 걸 말하는 아이의 놀이 – 발달심리학이 알려주는 관찰 포인트

by here, happy 2025. 4.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리와 심리공부의 아리입니다. 저는 발달임상 전공이라, 발달에 대해 많이 알고있는 편인데요, 이와 관련하여 유익한 포스팅을 쓰고자 찾아왔습니다! 우리 아이의 발달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내용입니다.

아이와의 놀이 시간 속에는 그 어떤 언어보다 풍부한 ‘마음의 표현’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상징놀이아이가 사고하고, 느끼고, 이해하는 방식을 드러내는 핵심 발달 지표예요.

오늘은 대표적인 상징놀이 이론인 **McCune-Nicolich, Watson & Fisher(1980)**의
수정된 상징놀이 척도를 바탕으로, 9개월부터 72개월까지 아이의 상징놀이 발달 단계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1단계: 탐색적 놀이 (Exploratory Play)

연령: 9~12개월
아직 물건의 의미나 기능을 이해하지 못한 채, 감각적으로 탐색하는 놀이를 합니다.
예: 컵을 두드리거나, 입에 넣어보거나, 흔드는 등
→ “이건 뭐지?” 하고 관찰하는 단계예요.
상징적 의미는 아직 없지만, 놀이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배우기 시작합니다.



2단계: 전상징기적 행동 (Presymbolic Scheme)



연령: 12~14개월
이제 아이는 물건이 가진 일반적인 사용 방식을 흉내 냅니다.
예:
• 전화기를 귀에 대는 시늉
• 빗자루를 들고 바닥을 쓰는 행동
아직 완전한 ‘상징놀이’는 아니지만, 기능과 사용 목적에 대한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3단계: 자동적 상징행동 (Autosymbolic Scheme)

연령: 14~16개월
아이 자신을 대상으로 상징놀이를 하기 시작합니다.
예:
• 빈 컵을 들고 마시는 흉내
• 밥을 먹는 척
• 잠자는 흉내
이제 물건이 실제로 없더라도, 놀이 안에서 상상력을 활용하는 모습이 나타나요.



4단계: 단일 상징행동 (Single Scheme)

연령: 16~18개월
상징 행동이 다른 사람이나 인형에게 전이됩니다.
예:
• 인형에게 밥 먹이는 시늉
• 인형에게 이불을 덮어주는 행동
이 시기의 아이는 타인을 인식하고, 대상 중심의 상징놀이로 확장하는 능력을 보입니다.



5단계: 단일 상징행동 조합 (Single Scheme Combination)

연령: 18~20개월
같은 상징행동을 반복하거나, 2단계 이상의 상징적 연속행동이 나타납니다.
예:
• 인형에게 밥 먹이고, 수건을 덮어 재우는 식
→ 놀이가 점차 ‘짧은 이야기’ 형태로 확장되기 시작합니다.



6단계: 복합 상징행동 조합 (Multischeme Combination)

연령: 19~36개월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을 연결하거나,
세부 상황까지 표현하는 다층적인 상징놀이가 등장합니다.
예:
• 국자로 밥을 푸고, 접시에 담고, 인형에게 먹이는 식
• 역할과 상황을 함께 표현하는 연속적 이야기 놀이



7단계: 물건 대체 놀이 (Object Substitution)

연령: 24~36개월
이 시기부터는 상징을 위한 창의적인 대체물을 사용합니다.
예:
• 막대기를 숟가락으로
• 상자를 자동차로
• 종이조각을 비누로
→ 현실에 없더라도, 상상 속 물건으로 대신하는 능력이 발달해요.



8단계: 사회적 역할 놀이의 시작 (Agent & Role Play)

 


연령: 30~48개월
이제 인형이나 자신이 역할을 부여받고 감정을 표현합니다.
예:
• “얘가 아파서 병원 가야 해”
• 인형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연기
• 엄마·아빠·의사·선생님 놀이가 등장

이 시기부터 상호작용과 대사, 감정 표현이 풍부해지며
혼자 혹은 친구와의 협동 놀이가 본격화됩니다.






9단계: 복수 사회적 역할 놀이

연령: 36~60개월
놀이 속 인물 간의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이 정교해집니다.
예:
• 의사와 환자, 간호사, 엄마가 등장
• 의사는 진단하고, 간호사는 약을 주고, 환자는 반응하는 식
놀이가 마치 한 편의 이야기처럼 구성되며, 서사적 구조와 인과관계 인식이 함께 발달합니다.



10단계: 복합적 사회 역할 + 전환 (Advanced Symbolic Play)

연령: 60~72개월
한 인형이 여러 역할을 수행하거나,
역할을 전환하며 상황에 맞게 움직이는 놀이가 가능해집니다.
예:
• 병원에서는 의사 역할을 하던 인형이, 집에 돌아가서는 아빠 역할을 하기도 함
• 놀이에 시간적 흐름, 공간 전환, 문제 해결, 갈등 상황이 포함됨

이 시기 놀이에는 창의성, 자기조절, 사회성, 협상력이 통합적으로 담깁니다.

이처럼 아이의 상징놀이는 9개월의 탐색적 놀이에서 시작해 6세 무렵에는 한 편의 드라마를 구성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합니다. McCune-Nicolich 척도는 그런 발달 과정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도구예요.

아이와 함께 놀 때, 단순한 동작 하나에도 의미 있는 발달 신호가 담겨 있다는 걸 기억해 주세요.

오늘 아이가 한 놀이 속에는, 그의 상상력과 생각이 자라고 있을 거예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