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적장애2 [지적장애] 지적장애 / 지적장애의 심각도 / AAIDD(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학회)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orders (ID) -IQ 점수 65~75 점수가 지적결함을 결정하는 절단점수로 권장됨-지적기능: 정보를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적응기능: 그 사회에서 일상적으로 해야할 일들을 연령에 적합한 방식으로 해내는 수준-DSM-5에는 개념, 사회, 실행이라는 적응기능의 세 영역이 명시되어 있음> ID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이 중에서 적어도 한 영역에서 손상을 보여야 함1) 개념: 언어 이해, 말하기, 읽기, 쓰기, 수 세기기2) 사회: 대인관계 기술, 규칙 준수, 사회적 문제해결, 다른사람을 이해하기3) 실행기술: 자기 돌보기, 안전 실천, 돈 사용하기-ID가 있는 사람들은 모두 어릴 때부터 지적기능과 적응 기능에서 제한을 보임> 지적기능과 일상생활의 문제는 그들의 .. 2025. 3. 30. [이상심리학]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ies : DSM-5 진단기준, 지적장애 심각도 분류, 발달경로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신경발달장애의 범주에 포함하는 지적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적장애는 과거에 '정신지체'라고도 불린 장애인데요, '정신지체'라는 어감이 좋지 않아서 지적장애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먼저 지적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적장애의 DSM-5 진단기준 지적장애는 발달 시기에 시작되며, 개념, 사회, 실행 영역에서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 모두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3가지 진단기준을 충족해야한다. A. 임상적 평가와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된 지능검사로 확인된 지적 기능(추론,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학업, 경험 학습)의 결함이 있다. B. 적응 기능의 결함으로 인해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 의식에 필요한 발달학적, 사회문화적 표.. 2023. 7.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