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이해3

[자기이해] EP1. 모든 것은 나로부터 시작된다.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저는 자기이해에 대한 관심으로 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어요. 항상 제 자신에 대한 궁금증과 의문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리학에 자연스레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어떤 누군가는 자신에 대한 확신이 있고, 온전히 자신을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저는 제 자신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한없이 흔들리고 불안해하곤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심리를 공부하며 제 자신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냐구요? 이에 대한 제 대답은 그런 것 같습니다. 이 과정은 죽을 때까지 이어지겠지만, 조금씩 관심을 갖고 저에 대해 생각할수록 제가 어떤 생각을 하는 사람이고, 어떨 때 행복해하거나 힘들어하는지 점차 알게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 중에서도 자신에 대한 생각으로 어려움을.. 2024. 8. 7.
[심리평가] TCI의 이해와 해석 中 성격편 안녕하세요 :) 아리입니다.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서 TCI 검사에서 성격편을 다뤄보려고 찾아왔어요~ 1. 성격의 중요성 - 동일 유형의 기질을 지녔더라도 성격 발달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행동. 2. 성격 척도 (3가지 - 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 성격1. 자율성 (Self-Directedness: SD) ▪ 자신을 ‘자율적 개인’으로 이해하고 동일시하는 정도 ▪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가는 능력 ▪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 ▪ 성격장애 및 부적응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1) 높은 사람의 특징 • 책임감이 강하고 신뢰할 수 있음 • 자신이 의미를 두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음 • 자신의 현재 모습 및 장단점을 잘 받아들임 • 자신이 .. 2023. 1. 28.
[국내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 이성아(광양고교 특수교사), 박승희(이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 이성아(광양고교 특수교사), 박승희(이화여대 특수교육학과) ★ 본 논문에서의 '발달장애' : 지적 장애 및 자폐성 장애 ★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 장애를 지닌 개인이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강약점을 사실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 키워드: 발달장애 청소년, 자기이해, 자기장애수용, 장애수용, 전환교육, 고등학교 특수학급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본 연구의 필요성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이해 ㄱ. 장애 청소년들의 정체성 발달은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때문에 더욱 복잡함. > 사춘기 관련 문제들이 장애로 인한 학업 실패나 문제행동과 결합.. 2022. 8.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