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제임스 - 랑게 이론 (1800)
: 신체의 변화가 먼저 나타나고, 감정이 그 후에 일어난다.
>기뻐서 웃는게 아니라 웃으니까 기쁜것이다.
>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신체의 생리적 변화 반응을 경험한 후에 정서경험이 동반된다.
ex. 빨간 망토 소녀가 늑대를 보았을때, 심장박동 수가 빨라짐 -> 이런 신체적 변화를 감지한 뒤에 두려움의 감정을 느낌.
>근거: 안면 피드백 가설
: 펜을 입에 물어서 웃는 표정을 짓게 한 집단이, 입을 내밀면서 심통난 표정으로 펜을 문 집단보다 같은 만화를 더 재미있게 봤다는 연구.
2. 캐논- 바드 이론(1929)
: 정서 유발 자극이 생리적 반응과 정서의 주관적 경험을 동시에 촉발시킨다.
> 외부자극에 대해 신체적 지각과 정서적 경험이 동시에 일어난다.
ex. 빨간 망토 소녀가 늑대를 보았을때, 경험하는 심장박동 수의 변화와 감정인지가 동시에 일어난다.
출처: ap psychology, 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반응형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개론] 뇌를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 :: 뇌전도 EEG / 컴퓨터 단층 촬영술 CT / 자기 공명 영상법 MRI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법 fMRI (0) | 2023.07.24 |
---|---|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 신뢰도, 타당도, 표준화 (0) | 2022.08.31 |
여키스- 도슨법칙(Yerkes-Dodson Law):: 여키스-도슨 법칙의 의미, 여키스-도슨 법칙의 뜻, 여키스-도슨 법칙의 정의 (0) | 2022.08.24 |
[심리학개론] 12장. 스트레스와 건강 (0) | 2022.08.08 |
[심리학개론] 6장. 언어와 사고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