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가족상담

[가족상담] 이야기 치료 :: 기본전제 / 치료목표 / 치료과정 / 치료자 역할 / 치료기법

by here, happy 2023. 11. 27.
반응형

 

 

1. 이야기 치료의 기본전제

1) 인간은 해석하는 존재다.

 

2) 경험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사회적 전제에 따라 해석함

> 동일한 사건이라도 사회문화적 전제에 따라 다르게 해석

 

3) 정체성은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재구성된다.

> 정체성은 사회적 산물임

 > 상담실에서의 대안적 정체성이 내담자 삶에 존재하는 이들에게 공유되고 인정받도록 해야 함.

 

4) 사람과 문제는 별개다.

> 문제가 되는 것은 문제이지 사람이 아님

> 문제는 인간의 정체성과 동일시 될 수 없음

 

5) 이야기는 삶이고 삶은 곧 이야기다.

> 인생 이야기는 여러 사건 중 특정한 것을 선택한 것임

 

6) 삶은 복합적인 이야기다

> 간과되고 망각되어 왔으나 잠재적으로 의미가 있는 사건, 내담자가 선호하는 사건에 초점

 

7) 인간은 능동적인 행위자다.

> 지향이나 목적의식에 따라 행동 -> 행동은 다시 지향을 강화 -> 정체성 구성

> 개인의 삶의 지향 = 삶의 이야기의 주제

 


2. 치료목표

- 내담가족에 대한 문제의 지배력 약화

- 내담가족의 삶의 주체로서의 의식(personal agency) 향상

- 자신들이 선호하는 가치에 따라 선택과 실천을 할 수 있도록 지원

 

1) 단기적 목표

: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가 내담가족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2) 궁극적 목표

: 내담가족 스스로 자신들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자기 가족의 대안 이야기를 계속 써 나갈 수 있도록 함.

 

 


3. 치료과정

>치료적 대화 진행

> 공통된 삶의 지향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가족구성원들이 연결되도록 함.

> 문제와의 관계를 함께 수정하는 단계: 여러 개의 목표를 상호연관된 것으로 재정의하는 대화 진

1단계. 문제의 경청과 해체

2단계: 부수적 이야기 구축

3단계: 대안 이야기 구축

4단계: 대안 정체성 구축

 

4. 회기 구성

-유동적임

> 1~2회에 종결하거나 여러 차례의 회기로 이어질 수 있음

 

- 일주일 이상의 간격을 두어 가족들에게 새로운 일을 생각하고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

- 치료자 단독 회기: 50~60분 / 외부증인집단(Outsider Witnessing Group): 2시간 초과

 

5. 치료자의 역할

- 탈 중심적 (decentered): 치료자의 전문적 이론이나 지식보다 내담가족이 제시하는 이야기, 삶의 지식, 기술에 우선순위를 둠

-영향력 있는 (influential): 질문과 반영을 통해 가족의 대안적 인생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함 / 그동안 삶에서 간과되었던 영역을 탐색하여 새롭게 발견한 삶의 지식과 기술에 더욱 친숙해지도록 함

- 치료자가 주의할 행동 (하면 안되는 행동)

 > 새로운 사실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라고 권유하거나 재촉하는 것

 > 새로운 사실의 결과나 잠재적 의미, 가능성에 대해 지적하려 함

 > 새로운 사실, 의미, 가능성에 대해 강한 긍정적 태도를 보이거나 칭찬함

 > 가족의 삶이나 정체성에 관해 갖가지 긍정적 결론을 도출해 냄.

 

6. 치료기법

1) 해체하기

: '문제'가 문제임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끄는 과정

 > 내담자의 문제는 대인관계, 더 큰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것이므로 문제 발생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치료자는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이 어디서 온건지, 문제를 키우는 좀 더 광범위한 문화적 신념, 생각, 관습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질문함

 

ex. " '좋은 엄마'라는 말이 무슨 의미지요?  '좋은 엄마'가 어떤 엄마인지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는데, '좋은 엄마'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디서 온 거지요? 누가 그런 생각에 동의하고, 누가 동의하지 않을까요?"

 

2) 외재화 대화

 > 외재화 지도: 사람 속에 내면화된 문제를 그 사람과 분리시켜 문제와 거리를 유지하면서 문제와의 관계를 수정

 > 과정

  ① 문제이야기를 경청하고 외재화하기

  ex. 제가 원래 우울해서 엉망으로 살아요 (문제의 내재화)  -> 우울한 마음이 제 생활을 엉망으로 만들었어요 (문제의 외재화)

 

  ② 문제의 영향을 탐색하기: 문제로 인해 내담자의 삶에 어떤 결과가 초래되었는지 질문

     - 문제가 이제까지 내담자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쳐왔는지

     - 현재 내담자 삶에 어떤 원치 않는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는지

 

  ③ 문제의 영향에 대한 자기 입장을 정리하기

    - 이 단계가 수월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앞 단계에서 그 사건의 구체적 상황, 촉진 요인, 장애요인에 대한 질문을 통해 그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이나 맥락에 대해 풍부한 이야기가 나오도록 해야 함.

 

  ④ 자기 입장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떤 이유에서 평가를 내렸는지, 그러한 입장은 어떤 이유에서 나온 것인지 질문

   - 독특한 결과를 계기로 가능해진 현실, 즉 내담자가 선호하는 현실이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내담자의 삶의 목적과 희망, 꿈, 열망, 가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질문

   - 가족은 자신의 경험에 대해 더욱 폭넓은 시각을 가지게 되고, 예상치 못했던 계기를 통해 자신들이 바라는 근거를 발전시키게 됨.

 

3) 재저작 대화

- 치료자는 독특한 결과와 관련있는 과거 사건을 찾아내고, 그 사건들이 순서에 따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한 주제와 구성을 갖는 이야기로 발전하도록 함

 - 개인의 이야기

 > 행동 영역 & 정체성 영역의 두 가지 영역에 대한 질문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관심 밖

 > 행동 영역: 여러 개의 사건이 특정한 주제 하에 시간순으로 배열된, 소위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역

 > 정체성 영역: 개인적 자질이나 특성에서 개인의 소신이나 헌신하는 바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목적의식 혹은 지향이 존재하는 영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