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달심리학8

[정서발달] 정서 발달 :: 감정과 정서 / 기질 / 애착의 발달단계 / 내적 작동모델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정서발달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려고 찾아왔습니다 :)   -감정(emotion): 주어진 상황에 부여한 개인적 의미에 대한 신속한 판단-정서적 반응은 경험을 반복하고자 하는 바람에 영향을 미침-정서와 인지는 양방향적, 역동적 상호작용을 보임↳ 정서는 지속적 참여와 학습에 활력을 불어넣는 힘이 되며 숙달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공동주의(joint attention): 타인과 함께 외부 대상에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사회적 참조(social reference): 영유아가 상황에 대한 타인의 해석을 이용하여 자신의 해석을 구성하는 행동 -정서는 자기 의식의 출현에 기여↳ 새로운 물체에 대해 아기가 나타내는 관심과 흥분은 자기효능감(주변의 사건을 통제할 .. 2025. 2. 12.
[지능발달] 지능이란? /지능 관련 이론 :: 2요인 이론/ 다요인설/ Cattell의 유동성이론, 결정적이론 / CHC이론 #지능이란?: 유전적 결정요인 뿐만 아니라, 초기 교육적 환경, 후기 교육과 직업경험, 현재의 정서 상태 및 기질적 및 기능적 정신장애, 검사 당시의 상황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전체적이며 잠재적인 적응 능력.#지능의 구조1. Spearman의 2요인설- 일반요인(g요인): 모든 개인이 갖고 있는 보편 능력- 특수요인(s요인): 특정 분야에 대한 능력 (ex. 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기계적 능력 등)2. Thurstone의 다요인설-7가지 기본적인 정신능력(Primary Mental Ability ;PMA) 을 제안.> PMA: 언어, 단어 유창성, 수 능력, 기억력, 공간 능력, 지각 속도, 추론능력3. Guilford의 지능 구조 입체 모형설 (Structure of Inte.. 2025. 2. 10.
[인지발달] 정보처리의 발달이론: Case의 신 피아제 관점 / Siegler의 전략 선택 모형 안녕하세요 아리입니다 :) 오늘은 정보처리의 발달이론인 Case의 신 피아제 관점과 Siegler의 전략 선택 모형에 대한 내용을 가져왔습니다.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을 잘 담고자 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Case의 신 피아제 관점: 정보처리와 피아제 이론의 융합Case는 피아제의 이론을 기반으로 정보처리 접근법을 결합하여 인지 발달을 재해석했습니다. 그는 피아제의 발달 단계 이론이 맞다고 보면서도, 그 발달의 원리를 보다 세밀하게 설명하려 했습니다. 특히, 아동의 사고가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 이유를 작업 기억의 용량 증가와 효율성의 향상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작업 기억과 처리 효율성: Case는 작업 기억의 크기가 아동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2025. 1. 15.
[인지심리] 퍼지 흔적 이론(fuzzy-trace theory) # 퍼지흔적이론(fuzzy-trace theory) [세부 사항보다는 “큰 그림”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거나 판단한다는 걸 설명하는 이론]사람들이 처음 정보를 부호화 할 때 세밀한 내용이 없고 핵심 내용만 유지 하며 특히 추론의 유용한 요점이라는 모호하고 희미한 내용으로 정보를 자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주요 특징1. 간소화된 처리: 사람들은 흔적 기억(gist)을 선호함. 복잡한 세부 사항보다 의미를 간소화해서 저장하려는 경향이 있음2. 정보 왜곡: 때로는 의미를 중심으로 기억하다 보니, 세부 사항이 왜곡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 3. 결정 과정: 퍼지흔적이론은 사람들이 결정을 내릴 때 의미 기반의 흔적 기억을 주로 활용한다고 봄. 즉, 핵심 의미에 따라 판단하지, 세부 사항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 2025. 1.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