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폐 스펙트럼 장애2

[정신병리학] 신경발달장애 :: 지능발달장애 / 의사소통 장애 / 자폐 스펙트럼 장애 /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 지능발달장애 1. 역학 - 유병률 1% - 남녀 성비: 약 1.5 : 1로 남자가 더 많음 2. 원인 - 생물의학적 요인(약 25%) - 정신사회환경적 요인 & 양자(생물의학, 정신사회환경)가 병합된 요인 (약75%) 3-1. 유전적 원인 - 염색체 이상: 다운증후군, 약체 x 증후군, 프레더윌리 증후군(15번 염색체 이상) 등은 두개안면 기형이나 기타 신체적 결함을 동반하는 지능 - 산전 원인 3-2. 환경적 원인 - 잘못된 양육, 사회적 언어적 기타 자극의 결핍 등의 불리한 환경조건으로 인해 지능발달장애가 생긴 것을 의미 4. 임상양상 - 낮은 지능과 적응행동의 저하 뿐만 아니라 각종 정서 및 행동장애,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하는 복합 또는 중복장애 - 적응기능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아.. 2024. 10. 3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변호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Austic Spectrum Disorder: ASD)란? > DSM-5에 따르면 ASD는 일차적 증상이 다음 두 영역에 속하는 신경발달적 장애이다. 여러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 이들은 사회정서적 상호성,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사회적 관계에서 드러난다.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또는 활동 패턴: 이들은 다음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 >>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신체운동,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동일성에 대한 집착, 고정된 일과나 의식화된 행동에 대한 융통성이 없는 집착 / 비정상적 강도나 초점의 제한되고 고정된 관심 / 감각적 자.. 2022.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