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유인,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요 등에 의하여 신체,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포괄적으로 규정됨
> 신체적.물리적 유형 / 언어적.정신적 유형 / 일진 등 폭력서클과 관련된 집단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등으로 분류됨.
> 집단괴롭힘은 학교폭력의 독특한 하위유형
#집단괴롭힘(bullying)
: 특정한 또래(희생자)에게 직접적으로, 상습적으로 가해지는 언어적 및 신체적인 공격성 행위
> 집단 따돌림의 세가지 특성
1) 의도성: 공격적 행동이거나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려는 것
2) 반복성: 반복적으로 시간에 걸쳐 수행되는 것
3) 힘의 불균형: 힘의 불균형으로 보여지는 대인관계
#집단괴롭힘에서 또래집단의 역할 유형
> 가해자와 피해자 이외에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
1) 동조자(assistant) : 곁에서 가해자를 적극 지원하는 경우 / 가해자를 따르며 괴롭힘에 참여하지만 주도적으로 행동하지는 않음.
2) 강화자(reinforcer) : 가해자처럼 피해자를 직접 공격하지는 않지만 공격을 부추기고 가해자를 격려하거나 자극함 / 괴롭힘 상황을 재미있어 하거나 웃거나 구경하는 행동으로 괴롭힘 행동을 강화
3) 방어자(defender) : 피해자를 지지하고 위로해주며 괴롭힘 상황을 중단시키려는 노력을 함
4) 방관자(outsider) : 무관심하거나 상황을 인식하고도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음 / 관중역할
#집단괴롭힘 예방을 위한 지침
1) 방어행동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가해강화행동을 줄이기
2) 또래를 괴롭히려는 가해자의 동기를 차단하기 (사회적 보상차단)
3) 친사회적 행동이 사회적 지위 향상과 유지에 더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4) 힘의 불균형을 최소화시키기
5) 가해자와 피해자의 개인적 속성을 변화시키기 보다는 주변인들의 반응을 변화시키기
'심리이야기 Psychology > 청소년 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상담] 청소년 상담의 정의/청소년 상담의 필요성 / 청소년 상담의 의의 (0) | 2023.04.20 |
---|---|
[청소년 상담] 중독 / 약물남용 / 스마트폰 중독 (1) | 2023.04.19 |
[청소년 상담] 청소년기 외현화 문제 :: 청소년기 비행 / 비행 청소년의 분류 / 지위비행 (0) | 2023.04.17 |
[청소년 상담] 청소년기 또래 맥락 :: 초점이론 / 동조성 (0) | 2023.04.15 |
[청소년 상담] 청소년기 자아중심적 사고 :: 개인적 우화, 상상적 청중 (0) | 2023.04.13 |
댓글